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無名子 尹愭의 歲時風俗詩 연구 ― 歲時記故事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umyeongja Yoongi's Seasonal Customs Poetry - Focusing on Sesigigosa(歲時記故事))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12
34P 미리보기
無名子 尹愭의 歲時風俗詩 연구 ― 歲時記故事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7호 / 219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황진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의 근기 남인 무명자 윤기(1741~1826)의 세시기고사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윤기는 평생토록 세시 명절과 그 풍속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현전하는 『무명자집』에서는 145제 177수의 세시 관련 시(세시풍속시)가 확인된다. 필자는 그중에서도 윤기가 1793년(53세) 1월부터 1794년(54세) 3월까지 집중적으로 창작한 일련의 ‘세시기고사’ 주목하였다. 세시기고사는 시의 제목이 <세시명 + 기고사>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윤기는 이 시기에 18종 세시를 대상으로 33제 35수를 지었다. 내용면에서는 해당 세시와 관련한 고사와 풍속이 중심이 되며, 형식면에서는 연작시가 아닌 장편시로 지어진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에서 윤기의 세시기고사는 18세기부터 본격화된 세시풍속을 전면에 내세운 연작형 세시기속시나 19세기에 성행한 한 해의 주요 세시풍속을 종합한 연작형 세시기속시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따라서 세시기고사는 윤기만의 독특한 세시기속시라 할 수 있다.
    윤기의 세시기고사는 대체적으로 중국의 세시와 관련한 고사와 풍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리나라 풍속의 비중은 비교적 작은 편이다. 하지만 별도의 시로 우리의 풍속을 부연하기도 하고 우리나라와 중국의 풍속 차이를 밝히기도 하였는데 이는 세시기고사의 가치와 의미를 더해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작품으로 볼 필요가 있다. 그리하면 이들은 좀 더 온전한 세시기고사가 되며 이는 곧 시로 기록한 세시기 같은 면모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Seasonal Customs Poetry(歲時風俗詩) of Geungi Namin(近畿南人) Mumyeongja(無名子) Yoongi(尹愭)(1741~1826), a modern 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Yoongi has been interested in seasons and their customs throughout his life, and in the current 『Mumyeongjajip(無名子集)』, the 145 works of seasons-related poems are identified. Among them, I paid attention to the 35 poems of 'Sesigigosa' in a series that Yoongi created intensively from January 1793(53 years old) to March 1794(54 years old). It is the title of the poem in the form of "Season name(歲時) + gigosa(記故事)", and in terms of content, the examination and customs related to C are centered, and in terms of form,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form of a full-length poem is not a series of poems. In this respect, Yoongi's Sesigigosa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the three consecutive poems that put forward the customs that began in earnest from the 18th century or the series , which synthesized the major customs of the year that were prevalent in the 19th century. Therefore, B can be said to be Yoongi's unique Custom-Descriptive Poetry(歲時紀俗詩).
    Among Yoongi's Sesigigosa, the long poems are generally composed of Chinese season-related story and customs, and the proportion of Korean customs is relatively small. However, as a separate poem, our customs were add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stoms was investigated, which adds the value and meaning of Sesigigos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nthesize them and see them as a work. Then, they become more complete it which can be said to have the same character as Sesigi(歲時記) recorded as a po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