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현대에서 서양 윤리사상과 실학의 만남 (Meeting between the Western ethical thought and the practical science in the modern and present age of Kore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08.07
29P 미리보기
한국 근현대에서 서양 윤리사상과 실학의 만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29호 / 117 ~ 145페이지
    · 저자명 : 권인호

    초록

    서양과 동양 및 철학과 정치 사회사상은 고대 문명을 형성하거나, 그 주변의 원시 사회에서 법치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시대 이후로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았다. 의ㆍ식ㆍ주와 같은 인간의 기본욕구의 해결이나 정치 사회적으로 유사한 관계에서, 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윤리 도덕적 고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 실학과 서양 윤리사상이 만나고 그 보기나 범례(Paradigm)의 융합과 충돌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이것은 동서양의 교류가 빈번하며 서로 영향이 다대한 21세기 현재와 미래에 보다 나은 개인의 삶과 사회 국가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 실학적 학풍은 유교 경전의 정주(程朱)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견해 및 주석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주 성리학의 중심적인 주제인 ‘사변적 천리(天理)’에서 이를 극복하여 다시 선진 유가(先秦 儒家), 곧 공맹(孔孟) 유학의 사회, 정치, 경제, 교육 등의 인욕(人欲)의 문제인 보다 구체적인 인간과 현실 문제의 개조를 문제 삼았다. 그런 의미에서 실학은 ‘유학의 르네상스’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서양의 철학과 윤리사상사에서도 근세 철학에서 존재의 문제나 합리적(계산적) 이성을 주제로 삼기 시작한 것은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는 근대정신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도 철학 계에서 세력을 얻는 것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들어와서부터다.
    고대 그리스의 윤리와 정치적인 철학사상에서 근대의 몇몇 서양 윤리사상 간단히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ㆍ현대에 와서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조선조 실학사상과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실학은 유학의 공맹(孔孟)사상이 지니는 자연과 인간의 현실적 사회ㆍ정치적 윤리사상, 곧 인의(仁義)와 우환의식(憂患意識)을 다시 재현하고 계승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서양 윤리사상 또한 절대화된 중세 신학적인 요소와 근세 합리적 이성주의가 결합하여 인간과 자연을 계산하고 계산되어지는 기묘한 사생아를 낳았다. 그 결과 근대 자본주의의 ‘동물의 왕국’이나 ‘만인 대 만인의 투쟁’으로 시사되는 적대적이며 비인간적인 독소를 양산하여 뿜어대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세계는 미국식 세계화의 신자유주의는 전쟁과 테러로 얼룩지고 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상생은 유학의 민본사상과 경세사상(經世思想)을 내용으로 하는 실학정신이다. 이 바탕은 유학의 경전인 「대학大學」의 인간 윤리 도덕의 확립에서 출발하여 가족과 국가 나아가 보편적 인류애와 평화애호 정신이다. 또한 실학은 존재론적 형이상학보다는 실천적 윤리를 강조하는 주장이다. 그런 점에서 실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양명학적 지행합일론(知行合一論)’은 시사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philosophic and political-social thought have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since the period when both set up ancient civilizations and were developed law-governed countries. The explanation of this sort applied to ethical and moral thoughts to solve the problems those basic desire of human-being and the similar relation of politics and society raised.
    With such explanations, I will study meeting between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n and the Western ethical thought, complex and conflict of examples or paradigms between two though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 life and country in the future as well as at the present time-21st century-when East and West exchange and influence each other.
    The tendency of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n was born of criticizing, annotating interpretation about Confucian scriptures of Neo-Confucianism by cheng-chu(程朱). Moreover, that overcame the doctrine of heavenly principle(天理 : This concept is expressed "theological" by recent works of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hich was main subject of Neo-Confucianism by cheng-chu(程朱) and groped concrete human and reconstruction circumstance at that times with concern about human desire(人欲). So we can say that practical science is 'Renaissance of Confucianism'.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ethical thought, Renaissance was the starting point to make existence or rational(calculated) reason the subjects. Practice science gave attention to reviving and succeeding humanity and righteousness(仁義) and consciousness of apprehension(憂患意識) again. To unite the medieval theology with the modern rationalism gave birth to strange illegitimate child in the Western ethical thought. As a result, modern capitalism and the world of today are stained by wars and terrors those American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bring about.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to overcome these problems is the spirit of practical science on the basis of the idea of people basis(民本思想) and the idea of national administration-relief(經世思想) in Confucianism. Foundations of such spirits are thought that after establishing human ethics and morals, affecting not only family and nation but also universal love for humanity and peaceful coexistence in The Great Leaning(「大學」), on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In addition, practical science don't emphasize metaphysics of ontology but practical thought of ethics. In such a point of view, thought of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知行合一)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s very sugges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