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훤의 <萊州雜詠>에 묘사된 17세기 초의 부산 동래 (Busan Dongnae in the early 17th century described in Yun Hwon(尹暄)’s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2.06
25P 미리보기
윤훤의 &lt;萊州雜詠&gt;에 묘사된 17세기 초의 부산 동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1권 / 71호 / 125 ~ 149페이지
    · 저자명 : 이상봉

    초록

    이 글은 동래부사 尹暄(1573~1627)이 남긴 <萊州雜詠> 17수를 통해 17세기 초 부산 동래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포는 <동래잡시>에서 부산 동래 지역의 순박한 풍속과 경관을 비롯해서 최치원으로 대표되는 神仙鄕의 모습, 홍간(?~1304)・周令 등 이 지역의 앞선 관료들에 대해 언급했다. 또 당시 유명했던 정자와 온천에 대해서 묘사하기도 했다. 20여년 뒤 정추는 일반적인 동래의 풍경보다는 신선향의 모습에 더욱 주목했고 古人들에 미치지 못하는 자신을 부끄러워하기도 했다.
    윤훤은 앞선 두 작품과는 달리 각각의 소제목에 따라 17수의 7언 절구를 지었다. 해운대와 소하정 등 앞선 작품들과 공통되는 제재를 선택하기도 했지만 장산국・효자옥종손・정문도묘 등 새로운 제재를 발굴하기도 했다. 그 밖에 자신이 별관을 지은 후 그것을 제재로 시를 짓기도 했고 송공사를 지어 송상현을 추모하면서 그에 관한 시를 짓기도 했다.
    필자는 윤훤의 작품을 앞선 두 작품과 비교하면서 세 가지에 주목할 수 있었다. 첫째는 <대마도>와 <송공사>에 나타난 일본에 대한 적개심과 전몰 선현들에 대한 추모의 마음이고, 둘째는 효의 중요성이 높아진 것이며, 셋째는 입신양명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다. 임진왜란은 신선의 고장인 동래에 까지도 전쟁의 상흔을 남겼고, 백성들이 충신・열녀・효자가 되길 바랐던 조선왕조의 의도는 윤훤의 시대에 와서 궁벽한 동래지역에까지 침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쉽게도 15세기와 16세기 동래의 전반적인 모습을 묘사한 작품은 발견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 시기에도 단편적인 작품들은 남아있으므로 그런 작품들을 시기별로 모아서 살펴본다면 15세기와 16세기 뿐 만 아니라 18세기와 19세기 동래의 모습을 재구성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14세기 이후 한시에 묘사된 부산 동래의 변화양상을 통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Dongnae in Busan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17 works of <Naejujab-yeong(萊州雜詠)> left by Dongnae Magistrate Yun Hwon(1573~1627).
    In <Dongnaejabsi(東萊雜詩)>, Jeongpo described the simple customs and scenery of the Dongnae region of Busan and the appearance of Sinseonhyang(神仙鄕-Taoist village) represented by Choi Chi-won. He also mentioned Honggan(?~1304) and Ju-lyeong(周令), the leading bureaucrats in this region. He also described the famous pavilions(亭子) and hot springs at the time.
    About 20 years later, Jeong Chu(鄭樞) paid more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Sinseonhyang(神仙鄕) rather than the general landscape of Dongnae, and was ashamed of himself for not reaching the ancient sages.
    Unlike the previous two works, Yun Hwon(尹暄) created 17 works of 7words poems according to each sub-title. Although he chose the same sanctions as his previous works such as Haeundae and Sohajeong, he also discovered new sanctions such as Jang San-guk(萇山國), Ok Jong-son(玉從孫), the filial son and the tombstone of Jeong Mun-do(鄭文道).
    Other than that, after he built the annex(別館), he wrote a poem using it as a material, and he built Songgongsa(宋公祠) to commemorate Song Sang-hyeon(宋象賢) and write a poem about him.
    Comparing Yun Hwon(尹暄)'s works with the previous two works, I was able to note three things. The first is the heart of remembrance of the war dead and the hostility toward Japan shown in <Tamashima> and <Songgongsa>. The second is an emphasis on filial piety, and the third is a social atmosphere that pursues achieve fame and prestig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eft the scars of war even in Dongnae, the hometown of Sinseon(神仙) and we can see that the intention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nted the people to become loyal servants, filial daughters, and filial sons, penetrated into the remote Dongrae area in the era of Yun Hwon(尹暄).
    Unfortunately, I could not find any works depict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Dongna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However, fragmentary works remain even in that period, so if you collect and examine such works by period, you can reconstruct the appearance of Dongra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well a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If this study contin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view the changes in Busan Dongnae described in Korean poet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14th century in a diachronic man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