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화대의 전승 양상 고찰 -조선 시대에서 대한제국기까지의 문화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spects of Yughwadae -Focused on the Cultural History Aspect fromth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02
36P 미리보기
육화대의 전승 양상 고찰 -조선 시대에서 대한제국기까지의 문화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6권 / 1호 / 33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원

    초록

    육화대(六花隊)는 중국의 당악정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조선의 당악정재이다. 창제 이후 조선 초 각종 연향에 사용되었으나 약 400여 년간 궁중 문헌에 등장하지 않아 조선조를 거치며 전승된 양상을 정확히 알 수 없고, 다만 1901년 대한제국의 연향에서 재현되었다는 연구 성과가 도출된 바 있다.
    현재까지 육화대의 전승과 재현에 대해 언급한 연구자는 장사훈과 성무경이나, 전승 과정에 대한 이들의 연구 성과가 일치하지 않아 조선에서 연행되었던 육화대의 전승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더욱이 장사훈과 성무경 모두 육화대를 궁중에서만 연행된 정재로 언급했던 것과 달리, 조선 후기 지방 관아에서 편찬된 ⌜교방가요⌟와 ⌜가오고략⌟, ⌜성호사설⌟등의 각종 민간 문집에서 육화대의 기록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육화대는 궁중 밖에서 조선조를 관통하며 전승되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육화대가 조선 성종 대 이전에 창제되어 약 400여 년 동안 단절되었다가 1901년 고종 신축년 진찬에서 재연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서울을 비롯하여 경기도 광주, 양주, 안성 일대와 멀리 경상도 지역에서까지 민속문화로 자리 잡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혹, 육화대의 단절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정재'의 용어 정의를 궁중에서의 연행물에 국한한 결과라 할지라도, 조선조의 문화는 궁중과 지방 간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회전되고 있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재의 단절과 전승에 대한 논의는 궁중뿐만 아니라 지방의 문화 도상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통시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Yughwadae(六花隊) is a Joseon Dynasty royal dance created based on Chinese royal dance. After it was created, it was used at all sorts of royal festival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it did not appear for approximately 400 years in royal literature, its transmission aspect cannot be identified accurately. Fortunately, there was a study which discovered that it was reproduced at a royal festival of the Korean Empire in 1901. Until now, the researchers who mentioned transmission and reproduction of Yughwadae were Jang Sa-hoon and Seong Moo-kyung. However, their study results regarding the transmission process are not consistent. Therefore, transmission of Yughwadae, which was cond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to be reconsidered. Furthermore, unlike both Jang Sa-hoon and Seong Mu-kyung who mentioned Yughwadae as royal dance which was conducted exclusively at royal occasions, when seeing that the records of Yughwadae are being discovered from all sorts of civilian works published by local government offic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Gyobanggayo⌟, ⌜Gaogoryak⌟, and ⌜Seonghosaseol⌟, it can be assumed that Yughwadae was being transmitted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outside of royal palace.
    Unlike existing research outcome that Yughwadae had been discontinued for approximately 400 years after being created prior to King Seongjong and reproduced during King Kojong's New Years Royal Festival in 1901, it can be identified that Yughwadae has been a folk culture not only in Seoul and Gwangju, Yangju, and Anseong in Gyeonggi Province but also in Gyeongsang Province. Even if existing studies on discontinuance of Yughwadae was initiated by Jang Sa-hoon and definition of 'jeongjae (royal dance and song)' was limited to annual royal publications, the culture of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was being spread through active exchanges between royal family and local province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 on discontinuance and transmission of jeongjae should be done diachronically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not only royal family but also local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