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A Modern Application of the Art of Seeing Things as They Are Based on the Practice of Tea Meditation-Focused on Early Buddhism’s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4.12
32P 미리보기
차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41권 / 243 ~ 274페이지
    · 저자명 : 김배호

    초록

    불교수행의 핵심은 여실지견(如實知見)에 있다. 보통 사람들의 마음이 현재에 머물기보다는 과거에 대한 집착이나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끌려 다니기에 불교수행은 현재에 머무는 것을 핵심으로 둔다. 오늘날 바쁜 일상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 역시 그 삶의 형태가 변했을 뿐, 마음이 겪는 괴로움은 여전하다. 우리의 마음이 현재가 아닌 과거와 미래로 정신없이 다니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현대인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차(茶)와 차생활(茶生活)을 명상의 대상으로 삼아 초기불교 수행의 핵심인 알아차림과 여실지견의 계발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고는 그 방법의 일환으로 『디가니까야(Dīgha-Nikāya)』의 「마하사띠빳타나숫따(Mahāsatipaṭṭhāna sutta)」를 중심으로, 여러 초기경전에서 언급하고 있는 육내외입처(六內外入處)의 알아차림 방법을 응용하려한다.
    기존의 차명상(茶冥想) 연구는 주로 행다례(行茶禮)나 차 성분의 효과를 통한 이완(弛緩)을 중심으로 진행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차 자체를 대상으로 차를 마시는 동안 마음이 경험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것이 핵심이다. 다시 말하면, 차의 특성을 활용해 차를 마시는 동안, 육근(六根)이 육경(六境)에 주의를 기울이고, 머물게 하여 현재 경험하는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알게 하는 훈련방법이다. 먼저 눈을 통해 찻잎과 찻물의 색깔이나 형태를 보고 알아차리는 것에서 시작한다. 차라는 색(色)에 마음을 기울여 분명하게 알아차리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명상자(冥想者)는 욕망이나 성냄 등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며, 지나간 과거의 후회나 다가오지 않은 미래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현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통해 지금 차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까지 알아차려, 현상을 자신으로부터 독립해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기회를 얻게 된다. 이처럼 차를 대상으로 육내외입처를 통한 알아차림의 진행은 명상자를 현재에 머물게 하는 손쉬운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은 미얀마의 순수 위빠사나 수행인 쉐우민 사야도의 가르침을 통해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초기경전은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과 연상작용의 조절을 초심자가 본격적으로 수행을 시작하기에 앞서 진행하는 방식으로도 소개하고 있다. 결국 차명상을 활용한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은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명상법의 일환이며 더 나아가 명상자를 여실지견이라는 붓다의 가르침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고는 육내외입처의 알아차림을 통한 차명상의 현대적 활용에 대해, 효과성 검증에 앞 서 그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whose aim is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to see things as they are.’ Suffering experienced in modern daily life arises from the inability to see things as they are.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how the art of seeing things as they are may be developed by using tea, the process of drinking tea as an object of meditation, and how tea can be applied to modern meditation.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explained by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Dīgha Nikāya 22).
    Tea meditation is not a simple physical act; it requires mindfulness of the objects one is engaged with. It begins with the moment-to-moment attention to the objects of the six sense organs. The mind dwells on these objects, perceives their characteristics in clarity, and sees them as they are. One begins with the practice of one’s visual perception by seeing the color and form of the tea leaves or brewed tea. By seeing them with clarity in concentration, meditators can block their minds from other distractions such as desires, anger, negative memories of the past, or insecurities about the future. Further, based on the harmonization of one’s vision, of the perceived object, and visual consciousness, the practice does not end at only seeing the object but is accompanied by the awareness of seeing the object. In other words, metacognition arises. When an object arises in the mind, an awareness of the object also arises, and a mind aware of this awareness accompanies it. In the practice of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when practitioners recognize phenomena entering their minds through the six sense gates, they also notice greed, anger and ignorance arising and disappearing within their mind. When they are aware of these three unwholesome roots, they can put a stop to them.
    Ven. Sayadaw Shwe Oo Min explains that when eating, all of the six sense organs are activated, and thus the mindfulness component of the meditation mechanism can be strongly stimulated. In other words, one can easily meditate under a tree or in a hut in a quiet forest, but the genuine practice of mindfulness should also possible in ordinary life settings where the six sense organs are easily stimulated. However, mindfulness of eating poses some obstacles in terms of limited eating time, the quantity one can consume, and the considerable time required for preparation. An object of meditation can best serve as the means of practice when it is easily available and not hard on the body. In this respect, tea is able to provide one of the best tools for mindfulness practice based on the six sense organs. As tea can be drunk anytime and anywhere, tea meditation can be easily practiced. In addition, as tea meditation can enhance relaxation and mindfulness, it can serve as a more appropriate object of meditation in daily life. Therefore, tea medit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mindfulness on the six sense organs and their objects, as explained in the section on mindfulness of mental phenomena (dhammā) in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