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효온(南孝溫) 산문(散文)에 나타난 이념의 지향과 <육신전(六臣傳)>의 의미 (The Ideal Perspective of Nam-Hyo-On's Prose and The Meaning of ❮Yuk-Sin-Jeo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3.12
37P 미리보기
남효온(南孝溫) 산문(散文)에 나타난 이념의 지향과 &lt;육신전(六臣傳)&gt;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9권 / 1호 / 3 ~ 39페이지
    · 저자명 : 장영희

    초록

    남효온은 조선전기 名族의 후손이며 영남사림파의 宗祖인 김종직에게 학문을 배웠고 그 문하의 인물들과 교유하였다. 그는 昭陵復位의 상소를 올려 정치권력과 격돌하였다. 마침내 出仕도 포기하였다. 연산 조 때는 김종직 門徒로 소릉의 일을 논죄하여 剖棺斬屍 당하였다. 정조 6년에야 증직되고 시호를 받았다. 세상에서 그를 生六臣이라 한다. 이렇게 부르게 된 것은 세조 당시 정치적 파동으로 죽게 된 사육신과는 다르지만 은둔하여 의리를 지킨 것은 같기 때문이다. 본고는 김종직의 문도로서 생육신이라 부른 남효온의 산문에서 이념성과 연대의식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가 남긴 산문, <냉화> · <사우명행록>에서 士林으로서의 이념의 지향성과 師友의 기록을 통한 이념성, 그리고 <육신전>에서는 사회적 연대의식을 규명하였다. 본고의 남효온의 산문에서 이념성 고찰은 <육신전> 분석을 위한 바탕으로 삼았다. 즉, 이 논문의 최종 목적은 <육신전>의 의미 규명이다. <육신전>은 영남사림파인 남효온의 유학적 의리로써 육신의 행위에 연대의식을 같이한 서사이다. 한편 남효온의 기록에서 고찰한 바, 격정의 비판적인 處士이되 『小學』과 『家禮』와 성리학적 실천에 충실한 인물이었다. 그러한 그는 체제 비판적 행위를 하다가 出仕에의 뜻을 거두고 방랑하였다. 사육신에 비교하면 소극적인 저항이다. <육신전>에 그의 삶과 관련된 기록 의식이 뚜렷이 보이는 바, 세조를 誅殺하려 했던 육신을 백이 · 숙제로 형상화하여 생육신으로 산 남효온 자신을 투영하여 立傳하였다. 그리하여 사림파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의식이 투영된 <육신전>은 백이 · 숙제처럼 절의를 지키는 인물전으로 형상화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Nam-Hyo-On was a descendant of good family and a disciple of Kim-Jong-Jik, the founder of Confucian scholars in Yeong-Nam provi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e sent a memorial of the reinstatement of the late wife of King Mun-Jong to the Throne and clashed with the Establishment. He wasn`t want to enter on an official career at last. He was known as one of Saeng-Yuk-Sin, Six Living Loyalists compared to Sa-Yuk-Sin, Six Dead Loyalists. He believed the authority of the dethroned King Dan-Jong and secluded himself from the world. He was a critical Confucian scholar out of government service that was wandering through life. This article considers the his ideal and spirit of solidarity in his writings. The theme of this study is the ideal perspective of Confucian scholars in and and the spirit of inter-Confucian scholars in . The final aim of this paper is the close examination of . is the biography of Sa-Yuk-Sin that shows solidarity with them as Confucian loyal vassals and has his conscious document of them identified with himself in pr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