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요유」와 「제물론」을 중심으로 본 장자 내편의 문맥 구조 ― 장자 사상의 정치철학적 가능성에 대한 탐구(2) (Contextual structure of the Inner Chapter of Zhuangzi with a focus on “Free and Easy Wandering” and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of Political Philosophy in Zhu)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08
32P 미리보기
「소요유」와 「제물론」을 중심으로 본 장자 내편의 문맥 구조 ― 장자 사상의 정치철학적 가능성에 대한 탐구(2)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75권 / 1 ~ 32페이지
    · 저자명 : 박원재

    초록

    일반적으로 장자가 추구하는 자유는 탈속의 자유라고 말한다. 그러나 장자사상의 핵심이 담겨 있는 내편을 검토할 때 장자는 ‘사람 사는 세상’ 속에서의 진정한 자유를 갈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실은 장자사상에 대한 한층 정교한 독법을 요구한다. 그것은 바로 정치철학적 독법이다. 이 시각에서 접근할 때, 「소요유」와 「제물론」을 중심으로 한 내편의 문제의식은 새롭게 조명될 수 있다. 「소요유」는 바람직한 삶의 이상과 그 정치적 맥락 그리고 그것의 구현을 위해 요청되는 실천적 행위라는 주제로 문맥이 구성되어 있고, 「제물론」은 시작과 끝부분에서 만물의 평등성과 그것을 체화한 삶의 모습을 쌍괄식으로 제시하고 중간에서 그 타당성을 ‘언어-지식-담론’ 비판의 관점에서 논증해 가는 구조를 보인다. 내편의 나머지 편들 역시 이 같은 문제의식을 이어받는다. 사회화된 세상 보기 방식을 해체하는 데 필수적인 ‘자기 비움’의 단계를 생물학적인 차원으로까지 밀고 나가고(「양생주」), 그렇게 하여 ‘자기 변형’을 달성한 이의 관점에서 세상살이를 조언하고(「인간세」), 그 같은 인격이 결과적으로 이루어내는 정치적 효과를 묘사하며(「덕충부」), 나아가 이런 특성들이 종합된 인간상을 제시함으로써 자연적 존재와 사회적 존재라는 인간 삶의 양대 범주를 화해시키고(「대종사」), 마지막으로 그런 통치자에 의해 다스려지는 이상적 정치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응제왕」)이 그것이다. 장자사상에 대한 이러한 독법은 기존 질서의 ‘이름-자리’에 묶여있는 우리의 사회적 몸을 자기 본연의 상태로 되돌리는 작업에 풍부한 시사를 준다.

    영어초록

    It is commonly said that the freedom of Zhuangzi is freedom of unworldliness. However, when we examine the inner chapters of Zhuangzi, it seems that he longs for true freedom in the “In the World of Men”. This fact requires a more elaborated reading of Zhuangzi’s thought: a political-philosophical reading. When approached from this perspective, the inner issues centered on the “Free and Easy Wandering(逍遙遊)” and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齊物論)” can be newly illuminated. In this regard, “Free and Easy Wandering” is contextualized in terms of the ideal of a desirable life, its political context, and the practical acts requested for its realization. And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presents the equality of all things and the form of life that embodies it at the beginning and end paragraph, and argues its validity in the middle from the perspective of a critique of language-knowledge-discourse. The rest of the inner charpters also inherit this critical mind. It refers to the process of “self-emptying” that is essential for dismantling the socialized way of seeing the world to the biological level (“The Secret of Caring for Life[養生主]”), advocating world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achieved “self-transformation” (“In the World of Men[人間世]”), describing the resulting political effects of such personality (“The Sign of Virtue Complete[德充符]”) and presenting a human image in which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bined, reconciling the two categories of human life: natural existence and social existence (“The Great anerable Teacher[大宗師]”) and finally describing the ideal politics governed by such a ruler (“Fit for Emperors and Kings[應帝王]”). This reading of Zhuangzi’s thought has rich implications for the interest in returning our social body, which is tied to the established “name-place” to its original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