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 움직임을 유도하는 미술관 디자인 요소 분석 -액티브 디자인과 메를로-퐁티의 신체성 개념을 기반으로- (Analysis of Design Elements in Art Museum to Induce Body Movement Based on Active Design and Merleau-Ponty's Concept of Embodimen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10
14P 미리보기
신체 움직임을 유도하는 미술관 디자인 요소 분석 -액티브 디자인과 메를로-퐁티의 신체성 개념을 기반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7호 / 143 ~ 156페이지
    · 저자명 : 이승희

    초록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미술관은 단순히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넘어, 방문객들이 예술과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체험할 수 있는 복합적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미술관의 설계와 디자인은 이제 새로운 차원의 접근이 필요해졌으며, 특히 미술관과 같은 문화공간이 대중화되고 웰빙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의 흐름 속에서, 일상적인 신체 활동을 촉진하고 활성화하는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액티브 디자인(Active Design)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접근 방식으로 공간이 관람객의 신체적 활동을 유도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뉴욕의 주요 현대 미술관인 뉴욕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뉴 뮤지엄(New Museum)을 대상으로 액티브 디자인의 적용이 이들 공간의 사용자 경험을 유도하는 요소를 심층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목wjr는 액티브 디자인이 미술관 설계에 어떻게 통합되었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관람객의 신체적 및 심리적 경험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메를로-퐁티의 신체성의 개념으로 미술관 환경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사례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액티브 디자인 요소와 미술관 환경 요소를 분석하여 연구 분석 틀을 도출하였다. 각 사례는 건축적 요소, 심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기반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들의 액티브 디자인 적용 방식과 관람객 신체성과 연계된 체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각 미술관이 액티브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여 관람객의 전시 경험을 증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뉴욕 현대 미술관은 다양한 전시 공간의 배열과 계층적 구조를 통해 풍부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휘트니 미술관은 다층적 공간과 자연광 활용으로 아늑하고 다채로운 전시 환경을 제공하였다. 뉴 뮤지엄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동선 설계와 자연광 유입을 통해 관람에 적합한 전시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액티브 디자인이 미술관 공간 설계에 연계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미술관은 건축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를 통합하여 관람객의 내적 경험 요소를 증진하고 있으며, 이는 관람객의 전시 공간과 작품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제공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액티브 디자인 원칙을 더욱 발전시키고, 다양한 문화공간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미술관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공공 공간에서도 관람객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의 미술관 설계와 환경 개선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society, museums have evolved beyond their traditional role of simply displaying art. They have become multifaceted spaces where visitors actively engage with and experience art in interactive and immersive ways. Reflecting this change, museum design and architecture now require a new level of approach. As cultural spaces like museums become more mainstream and as modern society increasingly values wellnes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environments that promote and enhance everyday physical activity is becoming more pronounced. Active Design is an approach aimed at meeting these contemporary needs by focusing on how spaces can encourage physical movement and foster interaction among visitor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how the application of Active Design influences user experience in three major contemporary art museums in New York: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the Whitney Museum, and the New Museum.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how Active Design has been integrated into these museum spaces and to evaluate how it affects visitors'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through the lens of Maurice Merleau-Pont's concept of embodied experience. (Methods) The study utilizes a case study approach, analyzing how Active Design elements are applied within museum environments. A research framework was developed to evaluate Active Design and museum environment elements. Each case was assessed based on architectural, psychological, and social elements, focusing on how Active Design principles are implemented and how they relate to visitor physicality and embodied experienc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ach museum has effectively employed Active Design principles to enhance the visitor experience.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offers a rich visual experience through its diverse exhibition space arrangements and hierarchical structure.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creates a warm and varied exhibition environment through its multi-layered spaces and the use of natural light. The New Museum, despite its limited space, optimizes circulation and natural light to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environment.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s that Active Design is closely integrated into museum space design. Each institution incorporates architectural, psychological, and social elements to enhance visitors' internal experiences, facilitating diverse interactions between visitors and the exhibition spac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further developing Active Design principles and exploring their applicability to various cultural spaces. By advancing these principles, future studie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enhancing visitor experiences not only in museums but also in other types of public spaces. Such research will offer crucial foundational knowledge for improving future museum design and environmental enhanc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