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宋代 四川지역 柳本尊敎派 비로자나불상 연구 -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airocana Buddha Statues of the Liu Benzun Sect in Sichuan Province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 Focusing on the Vairocana Wearing a Crown with a Miniature Image of Seated Liu Be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1.10
36P 미리보기
南宋代 四川지역 柳本尊敎派 비로자나불상 연구 -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2권 / 47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이 글은 남송대 유본존교파가 조성한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의미를 기존과는 다른 관점에서 살펴본 글이다. 교파의 교조인 유본존을 비로자나 불상 보관 화불로 표현한 도상은 유본존을 법신으로 숭앙한 남송대 유본존교파의 신앙을 바탕으로 창안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남송대 유본 존교파의 신앙을 밀교적 측면에 보다 주목하여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이 밀교의 관상 수행을 위한 직접적인 대상으로 창안된 것으로 보았다.
    대족 보정산 소불만에 남아 있는 <당유본존전비>와 조지봉 관련 명문들은 당말오대 유본존교파가 형성된 이래 남송대까지도 교파가 밀교적 신앙 성격을 유지 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당유본존전비>에서 유본존의 깨달음의 계기로 제시된『금강정유가중약출염송경』과 ‘유가본존교’라는 교파 명칭을 바탕으로 당말오대 유본존교파가 형성된 이래 「당유본존전」이 찬술된 남송 1140년 까지 밀교적 신앙 배경을 유지하고 있었다고 보았다. 또한 ‘육대조사전밀인’은 유본존의 밀법이 교파에서 계승되고 있었으며, 조지봉은 교파의 6대조사로서 그 밀법을 남송대 대족과 안악에 전파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남송대 유본존교파에서 조성한 비로자나불상들 중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 만이 일관된 도상을 취하고 있는 이유는 특정한 신앙 목적을 갖고 조성되었기 때문이라 주장하였다. 그 신앙 목적을 파악하기 위해 <유본존십련도>와 <유본존삼 신상>에서 확인되는 유본존 도상의 상징적 의미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토하였 으며, 유본존 도상은 법신이라는 신앙적 지위와 비로자나불과의 밀접한 관계를 담보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본존 도상이 암시하는 비로자나불과의 관계는 유본존의 신앙적 지위가 비로자나불보다 높다는 뜻은 아님을 지적하며,『금강정유가중 약출염송경』의 보관장식과 관련된 관상수행을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 도상 창안의 보다 직접적인 근거로 제시하였다.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은 단순히 유본존의 신앙적 지위를 강조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관상 수행의 대상으로 창안되 었다고 본 것이다. 이때의 유본존은 수행자를 투영하는 매개이자 범인의 몸으로 법신을 성취한 선례로서 수행의 목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남송대 유본존교파에서 밀교 수행이 행해졌음은 안악 화엄동에서 확인되는 삼밀수행의 요소를 바탕으로 추정하였다.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의 대다수가 화엄삼성상의 주존으로 조성된 것은 화엄삼성을 관상의 대상으로 설명하는 종밀의『원각경도량수증의』를 근거로 했기 때문이라 보았다.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 상이 밀교의 수행 대상임에도 화엄신앙을 배경으로 하는 화엄삼성상의 주존으로 조성되었던 이유는 당시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았던 교파의 교의를 전파하는 수단으로써 대중들에게 이미 익숙한 사상과 도상을 이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 하였다.
    남송대 유본존 화불 비로자나불상은 우선 교파의 형성 이래로 밀교적 신앙 정체성이 잘 유지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들은 당시에 이미 유행하고 있던 신앙 요소를 수용하여 새로운 도상을 창안하는 방식의 신앙 양상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교파에서 조성한 다른 조상들의 신앙적 의미를 찾는 단서가 될 수도 있다. 더불어 수행의 방법과 목표를 조상을 통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국 불교조각사에서도 매우 이례적인 조상으로서 독보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할수 있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outstanding features of the Vairocana Buddha statue wearing a crown adorned with the image of seated Liu Benzun, created by the Liu Benzun sect during the Southern Song Dynasty, is the unprecedented representation of Vairocana Buddha’s crown: the person in the middle of the crown is the founder of the sect, Liu Benzun(柳本尊, 855~918/938?). This iconic statue has long been considered based on the particular religious feature of the sect – revering their spiritual leader, Liu Benzun, as Dharmakaya or incarnation of the Vairocana Buddha. This paper, however, focusing on the religious background of the sect, examines this unique image of the statu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and reinterprets the religious meanings of the Vairocana statues with regard to vision practice(觀想) in Esoteric Buddhism.
    The Biography of Liu Benzun(唐柳本尊傳) and inscriptions about Zhao Zhifeng(趙智鳳, 1160~1249?) in Little Buddha Bend at Baodingshan grottoes are essential references that demonstrate the aspects of Esoteric Buddhism of the Liu Benzun sect. In the Biography of Liu Benzun, which was compiled in 1140, Sutra for Recitation Abridged from the Vajrasekhara Yoga(金頂瑜伽中略 出念誦經) marked by the momentum of Liu’s enlightenment, and the recorded name of the sect as ‘Yoga Benzun sect(瑜伽本尊敎)’ suggest that the Liu Benzun sect had maintained its esoteric characteristics based on Liu’s teachings, from the founding era of the sect to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construed from the inscription ‘The Transmission of the Esoteric Mudra by the Sixth Patriarch(六代祖師傳密印)’ that Liu’s esoteric teachings had been succeeded within the sect, and Zao Zhifeng spread those teachings around present Dazu District, Chongqing Municipality and Anyue Prefecture, Sichuan Province, as the sixth patriarch.
    Among the various Vairocana Buddha statues built by the sect, only the form adorned with Liu Benzun in its crown has iconographic consistency. This consistency suggests that the original image was created to serve specific religious purposes of the sect. Major preceding researches on Ten Austerities of Liu Benzun(柳本尊十煉圖) and Liu Benzun Trikaya(柳本尊三身像) are thoroughly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s of Liu Benzun image. The image signifies Liu’s spiritual stature as Dharmakaya and a close relationship with Vairocana Buddha.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relationship does not mean Liu’s religious stature is higher than that of Vairocana Buddha when Liu is represented in the crown of the Buddha. The vision practice related to crown adornments in Sutra for Recitation Abridged from the Vajrasekhara Yoga is more relevant in interpreting the creation of the statue. In other words, this ingenious expression of crowned Vairocana Buddha statues reveals that they were used for the vision practices rather than to emphasize the religious stature of Liu Benzun. The image of Liu Benzun, when it is adorned in the middle of the Vairocana Buddha’s crown, can thus be interpreted as the medium of vision practice reflecting the performers themselves and representing the pre-occupier who achieved Dharmakaya in the flesh of ordinary person.
    It can be presumed from the vestige of Three Secrets Practice(三密修行) inside Huayandong in Anyue that such esoteric practices were performed in the sect. Considering religious aspects of the sect and the intrinsic meanings of the Vairocana Buddha statue adorned with Liu Benzun in its crown, no solid evidence supports that the majority of them was built in the format of Three Worthies in Huayan(華嚴三聖). In this regard, Manual of Procedures for the Cultivation of Realization of Ritual Practice According to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圓覺經道場修證儀) by Zongmi(宗密, 780~841) can provide considerable grounds to understand this issue. In his work, Three Worthies in Huayan was presented as an object for vision practice. 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from the brief records related to Zongmi that he had a great influence on Sichuan for a long time. On those bases, the Vairocana statue wearing a crown with the image of Liu Benzun might take the format of Huayan as one means to effectively spread the sect’s religious teachings by manifesting popular format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