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분’ 개념으로 보는 유길준의 주권의 원천 Ⲻ 후쿠자와 유키치와의 비교를 통해 Ⲻ (The source of Sovereignty in terms of the concept of ‘職分’ in Yu Gil-jun -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Fukuzawa Yukich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0.02
36P 미리보기
‘직분’ 개념으로 보는 유길준의 주권의 원천 Ⲻ 후쿠자와 유키치와의 비교를 통해 Ⲻ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01호 / 129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혜경

    초록

    후쿠자와 유키치는 ‘rights’와 ‘duties’를 ‘통의’와 ‘직분’으로 번역했고, 후쿠자와의 책을 많은 부분 원용한 유길준의 『서유견문』 역시 이 용어들을 사용한다. 이 논문은 후쿠자와를 비교를 위한 배경으로 두고, 지금까지 주목된 적이 없던 유길준의 ‘직분’ 사용의 용례를 검토함으로써, ‘권리’와 ‘주권’에 대한 유길준의 생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의무’라는 조어가 만들어지고 정착되기 전까지 종래 사용되던 ‘직분’이라는 용어가 번역어로 채택되었다. 영어를 번역한 사람으로서 후쿠자와는 ‘duty’가 갖는 본래 의미를 알고 있었지만, 번역된 ‘직분’만을 본 유길준은 종래의 의미에 더 깊게 매여있었다. 유길준은 천부인권을 인정하는 것과 동시에 인정해야 하는 ‘인간으로서 갖는 직분,’ 그리고 천부인권을 제도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정부와 나눠 가진 ‘인민으로서의 직분’은 수용하지 않았다. 이는 그가 천부인권을 수용하지 않았고, 나아가 천부인권에 바탕을 둔 국민주권을 고려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이 논문은 ‘권리’ 개념이 초기 이해될 때의 굴곡이 오히려 상대적으로 친숙하게 느껴졌던 ‘직분’을 통해 드러났음에 주목하고, ‘직분’에 대한 이해의 굴절이 당시 조선이나 유길준에게 가장 첨예한 주제였던 ‘주권’의 이해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검토했다.

    영어초록

    Fukuzawa Yukichi translated "rights" and "duties" into "通義" and "職分," and Yu Gil-jun also uses these terms. With Fukuzawa as a background for comparison, this paper tries to figure out Yu’s thoughts on ‘rights’ and ‘Sovereignty’ by reviewing his use of ‘職分.’ Until the word ‘義務’ was coined and settled, the term ‘職分’ was adopted as a translation for “duty.” As a translator of English, Fukuzawa knew the original meaning of "duty," but Yu, who only saw the translated word "職分," was more tied to the traditional meaning of the Chinese word. Yu did not accept “職分 as of a human being,” which should be recognized at the same time as recognizing the Natural Rights of the people, and the “職分 as of the people” that were shared with the government to institutionally realize Natural Rights. I think this shows that he did not accept the Natural Rights and thus did not consider the popular Sovereignty. This paper note that the tortuousnes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right" was revealed through understanding "職分," which was felt rather familiar, and examined how understanding of "職分" was reflected in the understanding of “popular Sovereignty,” which was then the most acute subject for both Joseon and Yu Gil-j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