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 유튜브에 나타난 Z세대의 지속가능 패션의 실천 유형 (Sustainable Fashion Practice of Generation Z on Fashion YouTub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1.06
19P 미리보기
패션 유튜브에 나타난 Z세대의 지속가능 패션의 실천 유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21권 / 2호 / 17 ~ 35페이지
    · 저자명 : 민소희, 서성은

    초록

    지속가능성은 패션을 비롯한 전 영역에서 해결해 나가야 할 필수 과제가 되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은 1970년대 ‘로마클럽’의 제1차 보고서에서 처음 나왔으며 그 의미와 개념이 점차 전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패션 산업에서도 제품의 수명 주기 중 ‘재료’, ‘제조’, ‘유통’, ‘사용’의 단계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으며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패션 제품의 소비자 입장에서 ‘사용’의단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현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패션과 Z세대에 대하여 고찰하고 온라인 데이터 특성 연구에 적합한 네트노그라피의 귀납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Z세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글로벌 동영상 공유플랫폼 ‘유튜브’에서 키워드를 검색하고, 리딩 소셜미디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피드스팟을 중심으로주요 콘텐츠, 구독자 수 등을 기준으로 지속가능한 패션 채널 7개를 선정하였다. 이후 총 1,869개의 영상 중주제와 관련 있는 동영상을 중심으로 1차로 508개의 영상을, 2차로 30개의 영상을 도출하여 사용 단계에서이루어지는 대표적 실천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 제품 구입, 스타일링, 업사이클링/DIY, 가치관공유, 지속가능한 패션 플랫폼 소개의 5가지 유형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Z세대를 중심으로 소비자 입장에서 사용 단계의 지속가능한 패션 유형을 분석하였음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이는 지속가능한 패션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산업적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는 라이프스타일과 지속가능한 패션의 연관성, 국내 인플루언서들을 중심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지속가능한 패션의실천 사례 현황과 유형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ustainability has become an essential task to be solved in all areas, including fashion.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first emerged in the 1970s in the first report of the ‘Club of Rome’ and its meaning and concept gradually expanded to all areas. In the fashion industry, various efforts for sustainability are being made in the stages of ‘materials,’ ‘manufacturing,’ ‘distribution,’ and ‘use’ during the product's life cycle, and research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how the ‘use’ phase is being done for consumers of fashion products. In this work, we consider sustainable fashion and generation Z based on literature and conduct a case study using the inductive research methodology of netnography that is suitable for a study on online data characteristics. As the research data, seven sustainable fashion channels were selected in the basis of ‘feedspot’, RSS(Rich Site Summary) leader site based on major contents and the number of subscribers on the global video sharing platform ‘YouTube’, which is mostly used by Generation Z, as well as keyword search. Of the total 1,869 videos, 508 videos were derived in the first and 30 videos in the second order, focusing on the subject-related videos, and classifying the representative practice types in the ‘use’ phase. The study analyzed specific cases of sustainable fashion practices according to five categories: thrifting, styling, upcycling/DIY, value sharing, and sustainable fashion platform review.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analyzed sustainable fashion practices in the stage of ‘use’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focusing on Generation Z, and it is expected to be an industrial basis to identify the needs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