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綠釉水波形塼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Green-glazed Tile in the Shape of Water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9.10
20P 미리보기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綠釉水波形塼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8권 / 593 ~ 612페이지
    · 저자명 : 김동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전돌(綠釉塼)의 특징과 상징에 대해 살펴 보았다.
    첫째, 녹유전의 유약은 유리의 성질과 매우 유사하게 제조되었다. 특히 유약의 제조기법, 성분조성, 그리고 용도 등에 있어서 익산 미륵사지 출토 유리와 매우 유사할 것으로 추정했다.
    둘째, 사천왕사 녹유전은 평면 형태 때문에 ‘천조형전(千鳥形塼)’ 혹은 ‘능형전 (菱形塼)’으로 불러왔다. 본 논문에서는 전돌의 모양이 물결모양[수파형水波形]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했다. 그 근거로 일본 호류지에 있는 다치바나후진노즈지[橘夫人廚子] 바닥에 구현된 연못의 물결문양을 비교·검토했다. 그리고 일본 가와라데라 우라야마(川原寺 裏山)유적 등에서는 녹유수파문전(綠釉水波文塼)이 다수 발굴되었는데, 사천왕사 녹유수파형전도 같은 의미와 상징으로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천왕사 녹유수파형전의 상징과 용도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고대 동아시아에서 납으로 제조된 유약, 즉 연유(鉛釉)는 ‘유리(琉璃)’라 불렀음을 재확인했다. 사찰에서 녹유전의 사용은 주로 부처님의 유리정토세계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녹유수파형전은 정토세계 속 유리연못(琉璃池)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symbolism of the green-glazed tile in the shape of water wave excavated at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The first part of the main discussion deals with the glaze used for the green-glazed tile which created glass-like surface when the tile was baked. It is presumed from the manufacturing technique, components and utilization of the glaze that the effect of the glaze should have been very similar as that of the glasses discovered at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In the second part, it is concluded that the green-glazed title of Sacheonwangsa Temple,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the tile in the shape of a thousand birds" or "water caltrop tile", was originally made to have the shape of water wave. The conclusion i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tile with the wave motif decorating the floor of the Tachibana Shrine in the Horyuji Temple, Japan. As for its symbolism, the tile is compared with the green-glazed tiles with incised wave patterns discovered at the Kawaradera Urayama site in Japan.
    The final part of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symbolic meaning and utilization of the green-glazed tile of Sacheonwangsa Temple. It concludes that, considering that the lead glaze used in ancient East Asia was called "glass", the use of the green-glazed tiles for Buddhist temple buildings was to materialize the Buddha's Pure Land of Lapis Lazuli in this world. It also concludes that the green-glazed tile in the shape of water was used to represent the "glass pond" in the pure land of Buddh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