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유튜브 영상의 북한 이미지 연구 (A Study of North Korean Imagery in YouTube Video Cont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08
36P 미리보기
한국 유튜브 영상의 북한 이미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65권 / 7 ~ 42페이지
    · 저자명 : 김민선

    초록

    이 글은 유튜브 플랫폼에서 소비되는 북한과 북한적인 것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 유튜브 영상 콘텐츠의 내부에 자리하고 있는 감정을 면밀히 읽어내고, 댓글과 숫자적 반응(조회수, 좋아요 등)으로 해당 콘텐츠를 둘러싼 감정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이로써 플랫폼 및 콘텐츠의 기술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되 콘텐츠를 생산/소비하는 감정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질문을 제기한다. 유튜브에서 형성되고 공유되는 북한에 대한 이미지와 영상, 그리고 이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감정을 살피는 작업은 결국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이며 어떠한 맥락 속에서 호명되는가에 관한 고찰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한국 유튜브 영상이 공유하는 남/북한의 경계의 감각에 주목하여 통합이 가능한 접합면으로서의 경계에 대한 감성과, 대상을 타자화하며 남/북한을 날카롭게 구분하는 절단면으로서의 경계에 대한 감성, 그리고 이러한 경계에 대한 감성을 진공 혹은 혼종의 영역으로 구성하는 사례를 검토한다. 이들 유튜브 영상은 한국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자 하는 자기 위안의 감정과, 북한사회를 이해할 수 없는 기괴한 사회로 형상화하고 지도자에 대한 밈(meme)을 소비하여 웃음을 유발하고 혐오스러운 타자로서의 북한을 경계선 바깥으로 밀어내고 배척한다. 한편으로는 정치적 맥락을 탈각한 팬창작의 즐거움을 통하여 다양한 문화적 요소와 감성이 공존하는 감각을 만들어낸다. 북한과 북한적인 것을 활용한 영상 콘텐츠들은 북한의 이미지와 문화를 각기 다른 맥락과 감정으로 생산 및 향유하며 한국사회와 북한, 그리고 한반도 현실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things consumed on the YouTube platform. It closely reads the emotions underlying the content and observes the movement of emotions surrounding that content through comments and numerical responses (views, likes, etc.). This raises questions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emotions that produce and consume content,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impact of the technical environment of the platform and content. By examining the images and videos of North Korea that are formed and shared on YouTube, and the emotions that a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uming them, the work is ultimately an examination of what 'North Korea' means to us and in what context it is invoked.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ense of the bord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ared by South Korean YouTube videos and examines the sensibility of the border as a joining surface that allows for integration, the sensibility of the border as a cutting surface that sharply divide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y othering the subject, and the construction of this sensibility of the border as a vacuum or hybrid zone. These YouTube videos are driven by feelings of self-comfort to relieve anxiety about the negative outlook of South Korean society, and by the consumption of memes about North Korea as an incomprehensible and bizarre society and its leaders to generate laughter and push North Korea outside the boundary as a repulsive other. On the other hand, it creates a sense of coexistence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and sensibilities through the enjoyment of fan creations that decontextualize poli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