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체제기 군수물자 확보와 조선인 근로동원 -석유 대용품 松脂, 松炭油, 松根油를 중심으로- (Wartime Munitions Securement and Korean Labor Mobilization -pine resin turpentine, pine oil as oil substitut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0.12
31P 미리보기
전시체제기 군수물자 확보와 조선인 근로동원 -석유 대용품 松脂, 松炭油, 松根油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25호 / 207 ~ 237페이지
    · 저자명 : 김윤미

    초록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소나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상당하다. 소나무는 목재ㆍ약재ㆍ도료 등 여러 방면에서 소용되고 있는 나무이다. 일제시기에는 송진을 채취하기 위해 소나무 기둥에 ‘V’자형의 상처를 내었고, 솔가지들을 모아다 기름을 만들었다. ‘송탄유’라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전시체제기 석유의 수입이 어렵게 되자 석유 대용품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1937년부터 인조석유사업을 확대시켜 석유 대용품 생산에 주력하며 관련 물자들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송지․송근유․송탄유에 대해서도 가격이 통제되고 생산량이 할당되었다. 그러나 기업생산만으로는 한계가 있자 총독부 주도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했다. 농촌노동력을 동원해서 송지와 송탄유를 생산하는 방식을 확대시켰다. 송지는 1938년 채취법을 개발하여 생산을 확대하였고, 송탄유는 1943년 처음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소나무(松)에서 목탄(炭)과 기름(油)을 만들기 시작했다.
    송탄유는 重油 대용으로 물자운송용ㆍ선박용ㆍ어선용ㆍ공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송탄유 채취를 통해 얻게 되는 또 하나는 목탄이었다. 목탄은 자동차연료로 사용할 수 있었고, 이외에도 제철․고철재생공업․가스발생원료 등 시국관련 공업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품이었다. 게다가 가정용 연료로도 사용하고 있었다. 송탄유 생산을 선택한 또 다른 한 가지 이유는 바로 농촌노동력을 근로동원 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외에 송탄유 생산방식을 선택한 더욱 중요한 이유는 설비였다. 당시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철과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흙과 돌만으로 설비를 할 수 있는 것이 송탄유 생산방식이었던 것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1944년 송근유를 증산하여 항공연료로 사용하였다. 1944년 항공전력 증강이 가장 시급한 국가동원계획이었던 것이다. 설비에 필요한 강재는 군함건조용을 대용했다.
    송탄유 생산에 필요한 소나무 수집은 조선인들을 동원하였다. 국민총력운동의 일환으로 학생과 농민에게 송진과 솔가지 공출 할당량을 지정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근의 소나무는 사라져갔고, 먼 거리를 오가며 늘어나는 공출량을 감당해야했다. 학생들은 수업 대신 산에서 관솔을 채취했고, 농가에서는 농사를 지을 틈도 없이 송탄유 생산에 노동력을 제공해야 했다. 그러나 조선의 산을 황폐화시키고, 조선인들의 고된 노역으로 얻은 송탄유는 생산지에서 운반도 되지 않은 채 쌓여있다 끝이 났다.

    영어초록

    Pine tree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the forest of our country. Pine tree is used in many ways such as lumber, medicine, paint. In Japanese Colonial Period, pine tree was nicked to take resin, and pine twigs were gathered to make oil called ‘turpentine’ which was used as one of oil substitute as wartime oil imports became harder.
    Relevant supplies were begun to be controlled to concentrate its efforts on oil substitute production by expansion of synthetic oil industry from 1937. The prices of pine resin, pine oil, turpentine were controlled, and an output was allocated. But, as for a limit with just business production, a method of production led by the government general was devised. Method of producing pine resin and turpentine by generating a rural work force was expanded. Production of pine resin was expanded by development of collection method in 1938, Charcoal and oil were begun to be made out of pine tree as the term ‘turpentine’ has begun to be used first in 1943.
    Turpentine could be used as heavy oil substitute for transportation of supplies, ship, fishing boat, industry. Charcoal could also be obtained through collecting turpentine. Charcoal could be used as automotive fuel, and also was the commodity absolutely necessary in the industry on the situation such as iron manufacture, scrap iron recycling industry, gas generating raw material. Furthermore, it was being used as household fuel. An another reason for production of turpentine is that rural work force could be generated.
    Besides, a more important reason of choosing turpentine production method is the equipment. Turpentine production method was a way designed to produce only with soil and stone without using iron and cement which were definitely lacking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Japan increased pine oil output and used as aviation fuel in 1944. Air military strength build-up was the most urgent nation-wide plan in 1944년. Steel for construction of a warship was substituted for one necessary for equipment.
    Koreans were generated in collecting pine tree necessary for producing turpentine. Quotas on collection delivery of resin and pine twigs were assigned to students and farmers as part of national all-out movement. Nearby pine tree have disappeared as time passed, and increasing collection delivery amount had to be managed through coming and going a long distance. Students collected resinous knots of a pine tree in the mountains instead of class, and the farmhouse had to provide labor on production of turpentine not able to farm. But, turpentine obtained through hard labor of Koreans and devastating the mountain of Korea ended being piled up without being transported from area of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