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여성대중문학에 나타난 계급횡단자의 초상과 남성/이성애라는 적: 신달자의 『물위를 걷는 여자』(1990)에 대한 징후적 독해 (The Portrait of a Transclass and the Enemy of Male/ Homosexual in Women’s Popular Literature in the 1990s: Significant Reading of Shin Dal-ja’s The Woman Who Walks on Water(1990))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4.10
39P 미리보기
1990년대 여성대중문학에 나타난 계급횡단자의 초상과 남성/이성애라는 적: 신달자의 『물위를 걷는 여자』(1990)에 대한 징후적 독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72권 / 95 ~ 133페이지
    · 저자명 : 유승희

    초록

    이 글은 양귀자, 공지영, 신경숙이 상징하는 1990년대 여성문학의 상이한 궤적들이 여성 독자와 여성 작가의 직·간접적인 조우로부터 탄생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1990년에 발표된 신달자의 첫 장편소설 『물위를 걷는 여자』에 주목한다. 신달자는 여성 독자와 지속적으로 접속해온 대중문학 작가였으나, 바로 그 이유 위로 덧대어진 ‘여류’라는 부정적인 레테르와 자유주의적이라는 혐의로 인해 오랜 기간 비평적·학술적 외면을 받아왔다. 따라서 이 글은 신달자의 이력과 『물위를 걷는 여자』의 창작 및 흥행 성공에 이르는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독자와의 네트워크가 그녀의 창작과 긴밀히 연동되어있음을 밝히고, 샹탈 자케의 계급횡단자 개념을 참조하여 계급상승과 사랑을 동시에 욕망하는 하층계급 여성의 곤경을 살펴보고자 했다. 표면적으로 『물위를 걷는 여자』는 하층계급 출신인 난희의 성공과 불륜이라는 외피를 통해 당시 여성에게 가해진 일과 사랑 사이의 양자택일 문제를 다루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남성과의 사랑 즉 이성애가 여성의 계급상승에 있어 끝내 방해가 된다는 불안과 강박이 항존한다. 그 지점에서 틈입하는 퀴어들은 위협적인 이성애 너머의 안전한 섹슈얼리티 모델이라는 역설로 위치하게 된다. 『물위를 걷는 여자』는 신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급진주의 페미니즘 사이를 진동하는 분열적인 텍스트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oblem that the different trajectories of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were born from direct and indirect encounters between female readers and female writers. This is to analyze Shin Dal-ja’s The Woman Who Walks on Water in the context of women’s literature in the 1990s. Therefore, first, this article tracks the history of Shin Dal-ja and the process leading to the creation and box office success of The Woman Who Walks on Water. This reveals that her network with the reader is closely linked to her creation. Second, referring to Chantal Jaquet’s Transclass concept, I examine the plight of lower-class women who desire both class rise and love by reading the novel. This is because there is constant anxiety and compulsion in The Woman Who Walks on Water that heterosexual love with men finally interferes with women’s class rise. The Woman Who Walks on Water can be said to be a divisive text vibrating between Neoliberal Feminism and Radical Fem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