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魏晉 및 16國시대 酒泉지역의 顔料-種類 및 用例 特徵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pigments used in JinQuan area in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Age -around the kinds and use characteristics of pigment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魏晉 및 16國시대 酒泉지역의 顔料-種類 및 用例 特徵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12권 / 12호 / 167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병모

    초록

    河西지역은 위진시대에 이르러 중원지역 벽화가 본격 조성되면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미술문화의 토대를 갖추기 시작하였고, 16국시대에는 서방에서 불교석굴벽화 등이 새롭게 유입되면서 예술 트렌드를 다시 한번 전환시켜간 지역이다. 즉 묘실벽화 위주로 전개되던 미술 트렌드를 불교석굴벽화 위주로 전환시키면서 주제는 물론이고 회화 제작 공간의 커다란 변화를 수반한 지역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회화 제작의 중요한 토대로 작용하였을 안료에 관하여 종류의 변화 및 쓰임 양상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하서 중동부지역의 안료에 관하여는 이미 선행 연구를 통해 밝힌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하서 서부(西部)지역 중에서 주천지역에 한정시켜 검토를 진행하였다.
    위진시대에 주천지역은 흑, 백, 홍, 주홍, 황, 녹, 남 등 다양한 안료를 출현시킨다. 다만 다양한 안료 사용은 주천군 치소 인근 지역에 한정되며 기타 지역에서는 흑, 백 홍, 황 등 4색에 한정된다.
    주천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수급 양상은 동쪽 인근의 고태지역을 포함하여 하서 서부지역에 비교적 양호한 안료 기반이 형성되었음을 드러낸다. 뿐만 아니라 위진시대에 이르러 하서 중동부지역에서 보여주었던 채색문화 중심지의 서부지역으로의 이동 현상을 좀 더 강하게 뒷받침하는 동시에 그러한 변화의 흐름이 하서 서부지역에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었음을 확인시킨다. 특히 고태지역과 더불어 백운석, 중창석, 인록연광 등 중원지역에서 출현시킨바 없는 안료들, 즉 지역성을 강하게 반영하는 안료들을 다수 출현시킴으로서 하서지역 안료 수급 체계를 이해하는데 간과할 수 없는 내용을 제공한다.
    16국시대에도 주천지역은 미술문화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지만 위진시대와 유사한 안료를 지속하며 보다 다양한 안료를 출현시킨다. 특히 하서 동단의 난주 및 천수지역 등에서 출현시킨 안료와 전혀 다른 계통의 안료를 출현시킴으로서 난주 및 천수지역과 구분된 안료 수급 체계가 하서지역에 동시에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주천지역이 난주 및 천수지역과 서로 다른 안료 수급 체계에 놓인 배경 및 이유가 무엇인지 앞으로의 연구에 기대해야겠으나 묘실벽화와 석굴벽화가 서로 구분된 안료 수급 체계에 속하면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내보인 것은 아닌지 조심스럽게 예단해 본다.
    기존 연구는 위진 및 16국시대에 주천지역에서 보여준 이와 같은 안료 출현과 사용 양상에 주목하고 있지 않지만 지역별 채색 양상은 물론이고 회화 표현법 변화를 검토하고자 할 경우 안료 수급의 문제는 매우 중요한 근거의 하나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As Hexi region was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it star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art culture which was different from before, as the mural in the central area was constructed in earnest. As Buddhist cave paintings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west during sixteen Kingdoms age, Hexi region converted art trend again. In other words, Hexi region was where involves a huge change on the space of the construction of paintings as well as the theme, as the art trend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the burial chamber mural was converted to of that of Buddhist cave paintings.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change on the types and the aspect of the use about pigment which has been served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ainting in this era of change. Since pigments about the central east of Hexi region have already been revealed through precedent study, this paper limited the review to JinQuan of the western regions of Hexi.
    JinQuan area was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 made relatively a variety of pigments appear through burial chamber mural and excavated relics during WeiJin Dynasties. Besides, it also confirmed that such the base of pigments were formed over a relatively wide ranging area including Gaotai near JinQuan. In addition,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in the central east of Hexi regions has been identified about moving from the eastern area to the western area in the era of WeiJin Dynasties, The base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 has supported the aspect of the change on the center of coloring culture again. During sixteen Kingdoms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mural paintings in JinQuan was greatly reduced and these Buddhist cave paintings do not appear. Nevertheless, a variety of pigments which appeared during WeiJin Dynasties continued to emerge. In other words, despite the decline in coloring culture, it has kept on a similar base of pigments for more than 100 years.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in JinQuan of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was different from that of Lanzhou and Tianshui of the eastern end of Hexi region. We need to look forward to the future study on the background and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different pigments, but we prejudge if the burial chamber mural and Buddhist cave paintings are the result of different system of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The conventional study has not focused on the aspect of pigments and use in JinQuan area of WeiJin Dynasties and sixteen Kingdoms, but in the case of trying to review, the change on how to express painting as well as the aspect about coloring region by region, The problem of such supply and demand in pigments will serv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