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金蟬紋璫과 金步搖冠飾의 시원과 전개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Gold Cap Ornament with Cicala figure and Gold Boyo("step-sway") Ornaments in the Era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1.12
25P 미리보기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金蟬紋璫과 金步搖冠飾의 시원과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78호 / 31 ~ 55페이지
    · 저자명 : 이송란

    초록

    한대의 근간을 둔 위진남북조시대의 복식제도에서 특징적인 면은 북방이민족들의 금제장신구에 대한 취향이 반영되어 금제 冠飾이 관모와 결합되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山形 금제장식판에 매미모양의 蟬文이 장식된 금선문당은 채옹이 지은 『獨斷』 등의 漢代 문헌에서 武官이 쓰는 관의 요소로 확인이 되나 실물은 4세기 중반으로 편년되는 동진의 南京大北園墓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남경대북원묘는 동진의 황실묘일 가능성이 제기되어, 황제도 금선문당을 착용하였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매미와 산이라는 모티프로 구성된 금선문당은 중국 고유의 道敎思想인 昇仙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금선문당은 남조지역 이외에도 북조에서도 일정하게 확산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는 북방이민족들이 남조의 관제를 수용하면서 생긴 양상인데, 북조에서는 여성이나 어린아이의 무덤에서도 금선문당이 확인되어 흥미롭다. 이는 본래 북방에 연원을 가진 무관이 북조에서 유행되면서 일어난 현상으로 파악된다. 즉 금선문당이 부착된 관을 전 계층에서 착용하면서 생긴 양상인 것이다.
    걸으면 흔들리는 관인 步搖冠 역시 문헌에서는 漢代에 여성의 머리 장식으로 처음 등장한다. 금제보요관이 유행하게 된 것은 모용선비와 탁발선비의 관식으로 사용된 이후이다. 여성의 首飾으로 사용된 한대의 보요관은 북방이민족인 선비족의 보요관과는 재질이나 형식면에서 다른 계통으로 판단된다.
    위진남북조시대에 보요관이 전폭적으로 유행하게 된 것은 북방이민족인 모용선비에 의해서였다. 모용선비묘장에서 보요관은 3세기 단계에서 확인되며 4세기 전반까지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그리고 前燕, 後燕, 北燕이 도읍하였던 遼寧省 朝陽에서 주로 출토되는 지역적 특징이 보인다. 보요관이 거의 사라지는 5세기 초반 풍소불묘에서는 금선문당과 보요관이 결합되는 양상을 보인다.
    4-5세기에 이르면 일정하게 북조와 남조의 관식이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한다. 선비족 특유의 보요관에 동진양식의 금선문당이 더해지고, 남조의 금제장식에 북방 보요가 더해지는 양상이 전개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는 매미의 요소는 사라지고 산형장식으로 간략화 되는데, 이와 같인 남북조 융합양식이 고구려, 백제, 신라가 병립하였던 삼국시대 우리나라 관식에 일정하게 채용된다.

    영어초록

    The Wei, Jin and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as a period in the history of China that lasted from 220 to 581 AD. Though an age of civil war and political chaos, it was also a time of flourishing arts and culture. There were numerous movements of people within China. The movement were occasioned by differrent circimstances, and the end results were the redistribution and mixing of entnic groups.
    This study analyzed the exchange aspects of the Han tribe and the northern local gentries through examining the origin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raditional ornament of the Han Chinese, the gold cap ornament with cacala figure(金蟬紋璫) and the Gold Boyo(金步搖"step-sway).
    Characteristic thing in the costume system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which was based on the Han dynasty, is that gold diadem is combined with official hat by reflecting the taste of northern migrants' gold ornaments. The gold cap ornament with cacala figure is identified with military hat in the Han literature entitled Arbitrariness by Chaong. The real object was discovered in the Namgeongdaebukwon(南京大北園) tomb of Dongjin, recorded chronologically in the mid 4th century first. Namgeongdaebukwon tomb is estimated to be the tomb of the imperial family of Dongjin, and emperor also wore the gold cap ornament with cacala figure, which was composed of motifs with cicada and mountain in association with the taoism of China.
    The gold cap ornament with cacala figure is identified to have been spread in the northern region as well as the southern region uniformly. This phenomenon occurred because northern migrants accepted the coronet system of the southern region. In the case of the northern region, it is intriguing that the gold cap ornament with a cacala figure is identified in the tombs of women and children. It is assumed that this happened due to Wuguan are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region. In other words, this shows the aspect that people of all classes wore Wuguan that attaches the gold cap ornament with a cacala figure.
    Gold Boyog(金步搖), which is shaky while walking, emerged as women's head ornaments on the Han dynasty, according to literatures. The popularity of Boyogwan(步搖冠) began after using diadem ornaments of Murong Xianibei(慕容 鮮卑) and Tuoba Xianbei(拓拔 鮮卑). Boyogwan of Han dynasty, which was used as women's ornaments, is judged to be a different system from Boyogwan of northern immigrants in terms of quality and form.
    Boyogwan became popular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by Murong Xianibei, northern immigrants. This name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these people liked wearing boyogwan, usually worn by women. The Boyongwan, which was used by Murong Xianibei was different from that of Han dynasty, which puts its technical origin in Boyogwan of Central Asia. Boyo technique, made by cutting thin gold plate, affected Boyo ornaments of women in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nd Tang and Song dynasties.
    Boyogwan in Murong Xianibei tomb was identified in the stage of the third century, and these diadem ornaments were excavated intensively before the first half term of the fourth century. In addition, these ornaments hav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were chiefly discovered in Zhaoyang, which was the capital of the Former, Later, and Southern Yan. In the era of early 5th century, which was the disappearing time of Boyogwan, the gold cap ornament with cacala figure and boyogwan were combined in the Pungsobul(馮素弗) tomb.
    In the fourth century and fifth century, the gold hat ornaments of the northern region and southern region exchanged mutual effect. The gold cap ornament with the cacala figure of Dongjin style was added to unique Boyogwan of Xianibei, and northern Boyo was added to the gold ornaments of the southern region. In this stage, the element of cicada was vanished and simplified as a mountain style ornament. Likewise, the fusion style of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were used in the gold hat ornaments of Korea in the three kingdom period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uniform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