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月城尉 金漢藎 가문의 기반 확보와 정치적 동향 (Securing the Foundation and Political Trends of the Wolseongwi Kim Han-shin Fami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1.06
49P 미리보기
18~19세기 月城尉 金漢藎 가문의 기반 확보와 정치적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97호 / 231 ~ 279페이지
    · 저자명 : 김인경

    초록

    본 연구는 18~19세기 활동한 月城尉 金漢藎 가문의 정치적 동향을 추적한 글이다. 월성위 김한신 가문에 대한 조명을 통해 조선후기 駙馬 가문이 갖는 위상과 정치적 역할을 살펴보고 조선후기 정치사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월성위 김한신 가문’이란 김한신과 그 후손들을 지칭한다.
    김한신의 본관은 慶州이며, 그의 가계는 鶴洲 金弘郁을 派祖로 하는 鶴洲公派에 속한다. 김한신은 1720년(숙종 46) 노론계 관료 金興慶의 아들로 출생했고 1732년(영조 8) 화순옹주와 혼인하여 영조의 첫 번째 부마가 되었다. 영조는 7명의 부마를 두었는데, 그중 김한신의 후손들이 크게 현달하며 다른 부마 가문들과는 차별화된 위상을 확립해 나아갔다. 金頤柱, 金魯永, 金魯敬, 金正喜가 그 중심인물들로 3대에 걸쳐 문과를 통해 중앙 정계에 진출했고, ‘영조의 外孫’, ‘月城尉家’의 상징성을 바탕으로 관료로 성장했다.
    왕실과의 姻戚 관계는 월성위 김한신 가문의 정치적 성향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월성위 김한신 가문을 관통하는 정체성은 ‘왕실에 협력하는 친위 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면모는 김이주와 김노경의 정치적 역할을 통해 확인된다. 특히 벽파에 대한 공격은 같은 문중 내 벽파의 핵심 세력인 金龜柱 계열과 정치적 행보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것은 김흥경대부터 형성된 사도세자와의 우호적 관계 때문으로 보이며, 문중 내 分岐가 발생하는 직접적인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월성위 김한신 가문은 왕실의 인척 가문으로서 영조~철종대 정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이것은 순조~철종대 정국에서 주축을 이루었던 안동 김문과 그 세력들에 의해 탄핵 대상으로 지목되며 정치적 부침을 겪게 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aces back the political trends of the Wolseongwi Kim Han-shin family, who was activ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political role of the buma (King’s son-in-law)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light on the Wolseongwi Kim Han-shin family, and to review their influence o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that period.
    Kim Han-shin's ancestral house is in Gyeongju, and his ancestry belongs to the Hakjugong branch with Hakju Kim Hong-wook of the Gyeongju Kims as the founder of the clan. Kim Han-shin was born in 1720 (46th year of King Sukjong) as a son of Kim Heung-gyeong, a Noron official, and married the princess Hwa Sun in 1732 (8th year of King Yeongjo), became the first son-in-law of King Yeongjo. King Yeongjo had seven sons-in-law, and among them, the descendants of Kim Han-shin rose to prominence and established a unique status differentiated from other sons-in-law. The central figures such as Kim I-ju, Kim No-yeong, Kim No-kyung, and Kim Jeong-hee advanced into the central political world for three generations through the Literary Tests, and grew up as bureaucrats based on the symbolism of ‘grandsons of Yeongjo’s mother side’ and ‘the Wolseongwi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Wolseongwi Kim Han-shin family. The identity that penetrates the Wolseongwi Kim Han-shin family can be defined as ‘the Royal guards that cooperate with the Royal family’. This aspect is confirmed through the political roles of Kim I-joo and Kim No-kyung. In particular, the attack on the Byeok faction is noteworthy in that it shows a clear difference in their political behavior from the Kim Gwi-ju line, the core force of the Byeok faction within the same cla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riendly relationship with Crown Prince Sado formed during the Kim Heung-gyeong era, and it is thought to have been the direct cause of the divergence within the clan.
    The Wolseongwi Kim Han-shin family was a close relative of the royal family and occupied an important part in the politics from Yeongjo through Cheoljong era. However, this was pointed out as a subject of impeachment by Andong Kim family and their powers, who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and King Cheoljong, and it was also a factor that caused political ups and dow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