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병헌의 작역원위 연구 ― 『역경금문고』를 중심으로 ― (Study on Lee Byung-hun's viewpoint on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2.05
25P 미리보기
이병헌의 작역원위 연구 ― 『역경금문고』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3호 / 245 ~ 269페이지
    · 저자명 : 배영섭

    초록

    본 연구는 근대 경학가이자 종교사상가인 이병헌의 역학관을 금문경학 사상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병헌은 ‘역원위’를 복희와 공자로 규정한다. 복희의 십언·육계를 근간으로 공자가 『역경』의 64괘를 완성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문왕·주공을 작역자로 보는 삼성설과 사성설을 부정했다. 공자역 계승 적통은 시·맹·양구씨역으로부터 경방역을 통해 전해지는 금문 계보로 보았다. 공자의 미언대의가 약화된 것은 고문 계열인 고씨·비직역과 유흠의 공자관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 종합해보면, 복희역 → 공자역 → 시·맹·양구씨역 → 경방역의 금문 계보를 정통으로 인정한 반면, 복희역 → 문왕·주공역 → 공자역 → 고씨·비직역의 고문 계보를 비판했다. 작역원위는 역경의 저자이자 창교자로서 공자의 위상을 밝히고, 금문경학의 계보를 공자역의 적통으로 하여 공교의 당위성을 세우는 논리로 귀착한다. 고문경학에 대한 이병헌의 비판은 단편적이고 부분적인 비판이 아니라 원천과 근본에 대한 비판이다. 근대기 경학 사상가의 마지막 세대인 이병헌은 고문경학의 『춘추좌씨전』과 송학의 도서상수역학에 경도된 조선후기 사회에 금문경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Yi-study(易學) to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an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Lee Byung-hun’s(李炳憲) study appear in the book Yeok-gyeong geum-mun-go(易經今文考). Regarding ‘the origin of Yi’(易源), it derived from Fuxi(伏羲) and was completed by Confucius(孔子). King Wen(文王) and Ju-Gong, generally accepted in history is not recognized as the person who wrote the 'book of change'. The development of ‘the origin of Yi’ is the genealogy of direct connections from Fuxi to Confucius. The pedigree of Yi after Confucius was passed down from Fuxi Yi to Confucius Yi and then to Shi, Meng, Liang, Qiu Yi(施孟良邱易) to Jingfang Yi(京房易) which is the ‘New Text Confucianism Genealogy(今文系谱)’. It could be said that the logical construction of Lee Byung-hun’s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is to establish that the ‘Yi’ is the only Bible of Confucianism and Confucius(孔子) claims to be the only saint of Confucianism. Through this, Lee Byung-hun tried to turn the Bible of 'Confucianism as a Religion' into a 'Yi'. And he wan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making Confucius the head of 'Confucianism as a Religion'. Lee Byung-hun’s ‘The explanation of making Yi’ is an effort to revive the ‘Geum mun sang su Yi(今文象数易)’ of the Ha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as focused on ‘Do-seo-sang-su Yi Study(圖書象數易學)’ and ‘Treatment of Zuo Zhuan(春秋左氏傳)’ of the Song dynasty.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eum mun Yi(今文經學)’ system that he achieved can be said to be an undeniable great contribution to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Korean dynamic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