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길 위(의 위기)의 남자들-이혜경의 『길 위의 집』을 중심으로 (Men on the Road : Focusing on Lee Hye-kyung’s The House on the Roa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3.06
28P 미리보기
길 위(의 위기)의 남자들-이혜경의 『길 위의 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8권 / 473 ~ 500페이지
    · 저자명 : 조형래

    초록

    이 글은 『길 위의 집』에 나타난 남성성 누대의 역사에 대해 상세히 논의하고 그 복잡다단한 반발과 답습을 통한 공모의 이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길 위의 집』은 은용 내면의 욕망에 초점이 맞춰진, 기존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서의 가정소설(domestic fiction)이다. 하지만 동시에 한국 현대사의 알레고리로서의 이길중 일가의 누대에 걸친 남성의 가족사를 대상화한 소설로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길 위의 집』이라는 제목이 은유하고 있는 것처럼 이 소설은 근대 한국의 남성성의 역사가 사상누각에 불과한 것임을 확인하고 있다. 이것은 산업화 세대를 대변하는 이길중의 근면성실 및 검약에 입각한 장인으로서의 삶의 태도에 대한 자긍이 가족 구성원에 대해 가부장적 억압으로 작용한 데서 기인한 것이다. 동시에 아버지에게 나름대로 반발하고 있는 아들들의 여러 삶의 방식이 기실 이길중을 답습하거나 의식한 데서 이루어졌다는 부자 간 공모의 관계성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아들들 다수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아버지의 삶의 방식을 부정한다. 그 결과로 이길중의 일생에 걸친 자수성가에 대한 자긍은 산산이 부서진다. 하지만 정작 가장 큰 피해자들은 어머니 윤 씨와 딸 은용이다. 특히 가족 내에 유폐될 수밖에 없었던 은용은 바로 그 위치로 말미암아 부자 간의 각축과 가족의 불행을 가장 잘 응시할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laborate on the history of masculinity representation in The House on the Road and to uncover its complex history of complicity through opposition and reciprocation. The House on the Road is a domestic fiction that focuses on Eun-yong’s inner desires as a challenge to existing authority. However, it is also unique in that it can be read as a novel that objectifies the family history of a male family member of the Lee Gil-joong family over several generations as an allegory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As the title House on the Road metaphorically suggests, the novel confirms that the history of masculinity in modern Korea has been a myth.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Lee Gil-joong’s pride in his diligence and austerity as a craftsman, representing the industrialized generation, acted as patriarchal oppression against his family member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due to the col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s, who are rebelling against their father in their own way, and the fact that the sons’ different ways of life are based on their inheritance or consciousness of Lee Gil-joong. As a result, many of the sons deny their father’s way of life in their own way. As a result, Lee’s lifelong pride in being a self-made man is shattered. But the biggest victims are the mother, Yoon, and daughter, Eun-yong. In particular, Eun-yong, who is forced to remain in the family, is the one who is best positioned to observe the father-daughter dynamics and the family’s unhapp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