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진대(魏晉代) 역학에 관한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 (Jeong Yak-yong’s Perception and Evaluation about Yixue of the WeiJin(魏晉) Period)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12
25P 미리보기
위진대(魏晉代) 역학에 관한 정약용의 인식과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8권 / 147 ~ 171페이지
    · 저자명 : 이난숙

    초록

    이 논문은 중국 위진대(魏晉代) 역학을 대표하는 왕필(王弼, 226-249)과 한강백(韓康伯, 332-380)의 역학에 관한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인식과 학술적인 평가를 고찰하였다. 정약용의 『역학서언(易學緖言)』 가운데 「왕보사역주론(王輔嗣易注論)」은 왕필 역학에 관한 역학평론이며, 「한강백현담고(韓康伯玄談考)」는 한강백의 역학에 관한 역학평론으로 그 내용이 매우 상세하다.
    정약용은 왕필 역학에 대하여 자구(字句)·구절(句絶)·고훈(詁訓)·현담(玄談)을 주제로 각각 해석 오류인 사례들을 채록해 비평적 관점에서 논평하였다. 그 결과 왕필이 고역(古易)의 해석방법을 단절시켜 상고할 수 없게 만든 것일 뿐만 아니라, 도가사상의 현허충막(玄虛沖漠)과 무본체설(無本體說) 등으로 『주역』을 주석했다고 비판하였다. 이 때문에 왕필은 수사학(洙泗學)의 흐름을 끊고, 이단으로 『역』을 해석한 우두머리라고 평가하였다.
    정약용은 「계사전」의 9조목의 명제를 채록하고, 그 가운데 한강백의 7조목에 대한 주석에서 현학적(玄學的)인 해석의 문제점이 있음을 집중적으로 논하였다. 그 결과 한강백이 도즉무(道則無), 도생일(道生一), 무욕(無欲), 그리고 태허(太虛), 현응(玄應) 등과 같은 노자 사상으로 『주역』을 해석한 도가적 의리역학으로 변모시켰다고 하였다. 이로써 한강백 역학은 중국역학사에서 재액을 만난 것이라고 비판적으로 평가하였다.
    정약용의 논평에는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 제시되지 않은 왕필과 한강백 역학의 사상적인 문제점과 해석 오류로 보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했고, 자신의 역학관을 토대로 학술적인 평가를 단행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이로써 정약용의 역학적 인식이 공자학의 전통과 원류를 보존하고자 했으며, 노장과 불교 등을 역학에 융합하려는 이론에는 비평적임을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and academic evaluation of J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on the Yi Xue of Wang Bi(王弼. 226-249) and Han Kang-Bo(韓康伯. 332-380)’s representing the Wei Jin(魏晉) era in China. Among Jeong Yak-yong's 『The book of elucidated the clues about the Yi Xue(易學緖言)』, 「The Discussing about Wang Bi’s Annotation of Zhou Yi(王輔嗣易注論)」 is a comment on Wang Bi's Yi Xue(易學), and 「The Criticism of Han Kang-Bo’s Annotation(韓康伯玄談考)」 is a comment on Yi Xue by Han Kang-Bo, which is very detailed.
    Jeong Yak-yong analyzed the errors and cases of interpretation and annotation on the subject of Words and Phrases(字句), Sentences and Phrases(句絶), Exegesis and Interpretation(詁訓), and Xuan discussion(玄談) in Wang Bi's Yi Xue. As a result, he criticized Wang Bi for commenting on the 『Zhou Yi』 as the Xuanxu Chongmo(玄虛沖漠) and the No ontology theory(無本體說) of the Taoist thought. Furthermore, Wang Bi not only severed the interpretative methods of the ancient I Ching, making it impossible to reference them, but he also disrupted the tradition of ‘The Studies of the Zhu and Si Rivers(洙泗學)’, and was evaluated as the leader who interpreted the I Ching heretically.
    Jeong Yak-yong compiled Han Kang-Bo’s annotations on the seven of nine propositions in the 「The commentary on the appended judgments(繫辭傳)」 and analyzed the problems of his metaphysical interpretations. Consequently, Han Kang-Bo interpreted the Yi Xue with concepts such as ‘the Dao is the same as Non-being(道則無)’, ‘Dao gives birth to the One(道生一)’, Non-desire(無欲), Supreme Emptiness(太虛), and Mysterious Response(玄應) from the perspective of Laozi(老子)’s philosophy, transforming it into a Taoist ethical system. This interpretation by Han Kang-Bo was evaluated as a disaster in the history of Chinese Yi Xue studies.
    Jeong Yak-yong holds academic significance for presenting concrete examples of the ideological problems and interpretative errors in Wang Bi and Han Kang-Bo’s studies on the Yi Xue, which are not addressed in the 『Annotated Catalog of the Complete Library of the Four Treasuries(四庫全書總目提要)』, and for conducting scholarly evaluations based on his own views on the Yi Xue. This view of the Yi Xue shows that Jeong Yak-yong sought to preserve the traditions and origins of Confucian thought within the study of the Yi Xue, while clearly having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theories that attempted to integrate Daoist and Buddhist concepts with the Yi X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