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 설계지원 및 시각화 웹 앱 분석과 지능형 기술 활용성 고찰 (A Review on the Contemporary AI-assisted Web/Apps for Supporting Architectural Space Design and Visualizati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2.10
12P 미리보기
공간 설계지원 및 시각화 웹 앱 분석과 지능형 기술 활용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7호 / 293 ~ 304페이지
    · 저자명 : 조하영, 이진국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여러 당대 최신의 기술로 일컬어지는 소위 지능형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한 웹 앱 기반환경에서의공간 설계지원 플랫폼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간 디자인 분야에서의 향후 지능형 기술의 적용 및 확장 가능성에 관하여 실제 웹 앱들에 대한 조사분석을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하드웨어의 발전과 클라우드 환경 등의 일반화로 사람들은 데스크톱 뿐만 아닌 모바일,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를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었으며, 특정 웹이나 앱 등의 플랫폼도 기기나 환경의 제약에서 벗어난 높은 활용도를 요구하고 있고 또한 실제 그러한 웹 앱들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용도와 같이 접근성이 쉬운 분야뿐만 아니라 공간 디자인 분야 같은 전문적이며 생산성이 요구되는 분야 등으로 확장되어, 더이상 전문가뿐만이 아닌 일반 사람들도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손쉽게 공간 설계 및 시각화의 영역에 접근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최근 몇 년의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해, 일정 부분의 거리두기 및 비대면 활동에 대한 결과로 공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져공간 설계지원 도구가 더욱 활발히 등장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관련하여 꾸준히 거론되고 있는 키워드인 ‘지능형기술’이 이러한 플랫폼에 도입 및 홍보되고 사용자들이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적 환경에보조하여, 지능형 기술을 도입 및 활용하고 있는 공간 설계지원 웹 앱 기반 도구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능형 기술의 기능성 및 활용도를 평가 및 부분 정량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1종의 공간 설계 지원도구용 웹 앱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인 1) 지능형 기술의 응용성, 2) 플랫폼의 다양성, 그리고 3) XR 및 시각화 기술 활용성 등에 따라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해당 분석 항목과 이에 대한 세부 분석 항목을 설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고, 점수화를 통해 상위에 평가된 플랫폼을 보다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결과)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선정한 11종의 공간 설계지원 플랫폼을 10가지 세부 항목에 따라 평가한 결과, 일부 플랫폼을 제외한 나머지는 아직 높은 수준의 지능형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제공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웹 앱 플랫폼의 반응형 UI 디자인과 같은 시각적인 부분이나 XR 활용과 같은 직관적인 시각화 영역에 무게를 두고 있는 플랫폼들이 주를 이루므로, 실질적인 소위 지능형 기술의 분야지식과의 접목은 그 성장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평가 결과를 통해 현시점에서의 공간 설계지원 플랫폼에 활용되고 있는 지능형 기술 기반 기능의 활용성과 한계점에 대해 검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실질적으로 공간 설계에 있어 손쉽고 자동화된 기능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지능형 학습모델 및 플랫폼 개발에 기초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design-supportive platforms on top of a web/app-based environment that introduces and utilizes the latest so-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sisted technologies and analyzes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potential of such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nd space design. Due to the development of hardware and the spread of cloud computing, people are using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mobiles, tablets, desktop PCs, and platforms such as specific webs and apps that require high utilization beyond the device or computing environment; these adaptive web/apps are actually being activated. It has been expanding into areas that are easy to access, such as entertainment, as well as areas that require professionalism and productivity, so that not only experts but also ordinary people can easily access the area of space design and visualization by using various smart devices.
    Additionally,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in recent years, interest in space design has increased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contact-free activities, and space design support tools have emerged more actively. Intelligent technology, a keyword that has been steadily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era of Industry 4.0, is promoted on these platforms,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se platforms is increasing. (Method) In support of this technical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space design-supportive web/app-based tools that introduce and utilize intelligent technology, further evaluating and partially quantifying the functionality and utilization of intelligent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and investigates 11 web/apps for space design-supportive tools and analyzes them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1) applicability of intelligent technology, 2) interoperability of platforms, and 3) ability to support the function of XR and visualization. This study aims to set the relevant analysis items and detailed analysis items to conduct a quantitative evaluation and to examine the platform evaluated above more closely through scoring. (Results) Thus, as a result of evaluating 11 types of spatial design-supportive platforms selec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10 detailed items, it was confirmed that other than some platforms have not yet actually provided services based on high-level intelligent technology. Additionally, platforms that focus on visual parts, such as responsive UI design of web/app platforms or intuitive visualization areas, such as XR utilization, can b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 growth potentia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view the utilization and limitations of intelligent technology-based functions currently used in space design-supportive platforms, which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telligent learning models and platforms that support easy and automated functions and services in space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