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e-러닝 기반에서 웹 인터페이스 색채선호도가 학습인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n the Cognitive Views of Learning from the Color Preference of Web Interfaces Based on E-Learning)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0.07
10P 미리보기
e-러닝 기반에서 웹 인터페이스 색채선호도가 학습인지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10권 / 3호 / 267 ~ 276페이지
    · 저자명 : 정유경

    초록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새로운 매체로 각광 받으면서 많은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 사이트를 서비스 하고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온라인 교육 사이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에서 학습자는 한정된 공간과 긴 시간 화면을 응시해야하는 제한된 환경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학습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학습효과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자는 ‘웹 인터페이스 색채선호도가 성별에 따라 학습인지 능력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세우고 현 사이버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Raw Data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법을 사용하여 여성과 남성의 차이의 경향성과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교적 그렇다(65.22%), 보통이다(17.39%), 매우 그렇다(8.70%)로 전체(91.31%)가 웹 인터페이스 색채선호도에 따라 학습인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경색에 대한 선호도는 남성은 흰색에, 여성은 다양한 색채에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주제 색에 대한 선호도는 남성은 녹색계열에 여성은 빨간색계열에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메뉴와 아이콘에 대한 색채선호도는 남성은 파란색계열에 여성은 노란색계열에 높은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성별에 따라 색채선호도가 다르며 웹 인터페이스 색채선호에 따라 학습인지에 다른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남녀 수강비율에 따라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개발에 색채선호도를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적용한다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사이버대학 뿐 아니라 다양한 e-러닝 교육 사이트 개발 시 성별 특징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디자인 자료로 할용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Many universities are serving online education sites since online education services have been highlighted as a new medium. In addition, studies on the interface of online education site have been done in configuration of user conveniences. However, online learners have still confined in the restricted environments where they have to pay attention to screens for a long time in the limited space. These play a role of an element to deteriorate learning effects while decreasing the concentration in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ly, the researcher established a hypothesis that 'the color preference of web interface in the design education based on e-learning will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ability of cognitive views of learning depending on the gender'. Using a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raw data in a questionnaire, the tendency and volatility in the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frequency analysis and statistical techniques.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he color preference of web interfaces affects the cognitive views of learning in total (91.31%) including 'Comparatively Likely' (65.22%), 'Moderately Likely' (17.39%) and 'Very Likely' (8.70%). However, men showed the frequency for white and women for various colors in terms of the preference for the background color, while men showed a higher frequency for green and women for red in terms of the theme color. In addition, men showed a higher frequency for blue and women for yellow in terms of the color preference for the menu and icon. These results support a hypothesis that the color preference differs depending on gender while the cognitive views of learning have different influences depending on the color preference of web interfaces. higher learning effects can be expected if web interface designs ar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preference in developing contents to reflect characteristics on the curriculum depending on the ratio of men and wome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n addition, they can be utilized as materials for interface designs in consideration of gender characteristics in developing various e-learning education sites in addition to those for cyber univers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지털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