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2.0 디지털 시대의 창조와 공예문화의 경향 (A Study on Creation and Craft Culture in the Age of Web 2.0)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4.06
15P 미리보기
웹2.0 디지털 시대의 창조와 공예문화의 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17권 / 2호 / 29 ~ 43페이지
    · 저자명 : 최서윤

    초록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달로 오늘날은 80%가 넘는 국내 인구가 스마트폰을 통해 때와 장소에 구애 없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일방적인 정보 전달의 웹1.0의 기능은 쌍방향 소통과 참여의 웹2.0 디지털로 진화하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등장으로 1인 미디어의 시대가 열렸고, 인터넷 이용자는 정보의 수용자이자 동시에 생산자가 되었다.
    공예는 인류가 생존을 위하여 창조한 문명이다. 공예는 쓰임과 결부된 미적사물로 정의되고 있으나 발생의 과정과 의의를 돌아보면 인간의 창조본능에 의하여 생성되었고,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향상심에 의해 발전된 문화임을 알 수 있다. 현대인에게도 이와 같은 창조욕구와 향상심은 존재하며, 쉽게 접할 수 있는 디지털 매스를 이용하여 디지털 문화 속에서 공예문화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웹2.0 디지털 시대에 보여 지는 공예문화의 움직임을 돌아봄으로써 앞으로 공예와 공예가의 역할이 더욱 다양하게 모색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anks to rapid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y, today over 80% of Korean citizens gain access to the Internet via their smart phone any where and anytime. Web 1.0 the one-way information platform, has evolved in to Web 2.0 which enables bi-directional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ccordingly, the adv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s ushered in the personal media age, in which each Internet user becomes a provider as well as a receiver of Information.
    Craft is a civilization created for human survival. It is often defined as an aesthetic closely related to function; yet looking in to its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craft came about through creative instinct and has progressed due to man’s desi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Modern humans have this same desire for creation and improvement, so in the digital era, craft culture is staying activewith the use of digital tool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and available. Dismissing the worries that digital advancement would lead to the fall of analog craft culture, craft culture in the digital era plainly shows the creative, sustainable and communal nature of craft. This phenomenon is in line with the fact that craft emerged throughout the world simultaneously and naturally, not through education or propagation.
    This thesis aims at reviewing and comprehending the nature of craft through the brisk movements of craft culture in the Web 2.0 digital era, and further seeking the possibilities of “living everyday with art.”As the researcher, I hope the roles of craft and craftspeople will continue to grow as their horizons exp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