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료 활용 웹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Material Utilization Web Design for Sustainable Spac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3.08
10P 미리보기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료 활용 웹 디자인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11 ~ 20페이지
    · 저자명 : 하숙녕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기술 문명 지향의 산업사회가 야기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대안으로써 환경에 아무런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속성이 있거나 모든 제품이 수명이 다한 후에도 다른 용도로 쓰이기 위해 재사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나아가 지구 환경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디자인함에 있어 사용된 후 버려질 산업제품이나 이미 사용했던 자원들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원활한 공급과 수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사용 재료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재료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디자인 개발범위는 다양한 재사용 재료들의 정보자원의 역할로써 웹상의 맵(Map)을 통해 편리하게 공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웹 서비스 구축을 위한 디자인 개발의 범위로는 재사용 재료(Re-used Material)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하며, 관련 자료 고찰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실행되고 있는 국내‧외 대표 재료 웹사이트 사례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재료 활용 웹 디자인의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 프로토타입의 기획 및 설계를 통해 디자인을 도출하고 완성된 웹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하여 전문가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개선점을 찾고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결과) 개발한‘리디자인팩토리’의 웹 디자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재사용 자재를 선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재료를 보유하고 있는 장소의 위치, 종류, 수량, 규격, 활용사례를 통한 아이디어 제공 등 자재 주문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수거를 위한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재사용 재료를 활용한 디자인 설계 및 프로세스 단계로 수거한 재사용 재료를 이용하여 설계 또는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고 과정을 통해 이해를 돕는 과정이다. 이는 재료를 적용하고 제작하는데 있어서 시간적인 절약과 다양한 방법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결과물 실행단계는 이 모든 과정을 거친 디자인에 한하여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단계로써 Facebook, Twitter, You tube, Instagram, Blogs, CSR 웹사이트 등을 통해 모든 전 과정을 등록함으로써 재사용 재료를 활용한 공간을 전파시키고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결론) 본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웹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공급과 수요가 원활하게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고자 공급자와 수요자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문제점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a technology-driven industrial society,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all products be reused to be repurposed after their end of life or with sustainability without inducing a detrimental effect on the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time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global environmental issues to find a way to deal with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it tries to find a way to revitalize reused materials for smooth supply and demand of industrial products to be discarded after use or resources already used to be reused in spatial design. As a solution, it aims to develop a material website, as an information resource for various reused materials with the purpose of conveniently bringing them through a map on the web. (Method) As for the scope of research for building the web service, it intends to focus on re-used materials and mentions the need for research through a related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it seeks to build an environment for the material application web servi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presentative materials website cases home and abroad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o this end, it plans and designs a website prototype, derives a design, and collects experts' opinions based on the completed web prototype to find improvements and suggest directions. (Results) The design process of the‘Redesign Factory’ developed is as follows. The first step to selecting reused materials is a step for pickup and items to be considered when ordering materials, such as the location, type, quantity, standard, and idea provision through application examples. The second step is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processing using reused materials, which is a process of searching for materials necessary for design or construction by using the materials collected and help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process. It provides ideas for time-saving and directing in various ways in applying and producing materials. As for the last step of implementing design results, it suggests a way to spread and revitalize the space using reused materials by registering all the processes on social networks such as Facebook, Twitter, Youtube, Instagram, Blogs, CSR websites, etc., only for designs that have gone through all the processes. (Conclusions) In future research, it aims to identify problems and limitations by gathering opinions from suppliers and consumers based on the design and propose improvement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supply and demand have been smooth in the process of finding materials by using the we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