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사이트에서 관찰되는 문화계층별 디자인 표현특성 비교연구 -예술 분야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Web Design according to Culture Groups - Focus on the Web site for Ar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11
33P 미리보기
웹사이트에서 관찰되는 문화계층별 디자인 표현특성 비교연구 -예술 분야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경영연구 / 20호 / 147 ~ 179페이지
    · 저자명 : 양승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에서 나타나는 시각요소들을 분석하여 인터넷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계층적 특질과 표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실세계에서 나타나는 문화계층별 취향 및 시각언어와의 관계성, 문화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인터넷 사용자의 사회적 위치와 문화적 취향이 웹사이트의 이용 형태에 반영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문화계층을 ‘고급문화’, ‘대중문화’, ‘상호지향적 문화’로 구별지어 각각의 웹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보편적 표현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상호지향적 문화’의 경우 기존에 문화계층을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양분된 대립 구조로 설명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의 문화이동현상을 반영하여 ‘고급문화의 대중화’ 및 ‘대중문화의 고급화’ 경향을 설명하는 새로운 문화계층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계층별로 유형을 분류하여 대표사례를 선정하였으며, 특히 문화의 다양한 영역 중 시각적 표현이 두드러지는 예술분야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급문화’에서는 전체적으로 통일되고 절제된 표현특성이 나타났으며, ‘대중문화’에서는 대조적으로 화려하고 환상적인 이미지나 다이나믹한 표현이 주를 이루었다. ‘상호지향적 문화’에서는 간결한 디자인과 파격적인 표현주의 성향이 동시에 나타나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이미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의 문화계층 및 표현특성이 유의미한 관계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며, 문화계층별 분석결과는 향후 관련 웹사이트 제작 및 디자인에 있어 전략적 접근방법이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a noticeable increase in the use of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internet is ubiquitous in our daily life. Whrereupon the existing culture is spreading to the internet platform and creating a new culture paradigm. Meanwhile the internet services various contents to user through web site which is operated by browser, it quietly depends on visual effects more than other media.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visual elements of web site, especially dealing with an art, for reali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arateristic of the internet user’s culture groups and the design of web site. In this regard, we seek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real world and cyber space, also its cultural meaning. For this, through classifying the culture groups to ‘high culture’, ‘popular culture’, ‘co-oriented culture’, we did comparative analysis its common visual elements of web site. As a result, the web site of the ‘high culture’ group shows a distinguished simple layout and unified design. In constract, the ‘popular culture’ group shows colorful, dynamic and fantastic image. In case of the ‘co-oriented culture’ group, it expresses an opposite sense, simple and funky,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result explains that the both real world and cyber space users have a consistant culture preference depends on their culture groups. And this also could be established as a stratgic marketing method and basic references when creating web site and desig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