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헨리 나우웬의 장애(인)신학 (A Study on Henri Nouwen’s Theology of Disabi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3.06
34P 미리보기
헨리 나우웬의 장애(인)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35호 / 261 ~ 294페이지
    · 저자명 : 최대열

    초록

    지난 40여 년간 한국 기독교의 교역자와 평신도들에게 잔잔하면서도 큰 감동을 미친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 목회신학자 헨리 나우웬이다. 그는 현대인의 실존을 고난으로 보았고, 일평생 그 고난의 문제를가지고 하나님과 사람들 사이를 가교하는 영성을 추구하였다. 특히 그는 마지막10년을 장애인공동체에서 장애인들과 더불어 교제하며 영성과 신학 작업을 하였다. 이글은 장애(인)신학적 시각에서 그를 장애(인)신학자로, 그의 신학을 장애(인)신학으로 조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나우웬은 현대인의 실존을 상처투성이의 존재로 보고 있다. 인간의모든 상처는 근본적으로 영적인 것이며, 세상에 살면서 관계하는 수많은 존재와 사건들로부터 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인간은 하나님에게의존해야 하는 영적인 존재이고, 세상 안의 사람들 사이에서 서로 관계하는 상호의존적인 존재이다. 그러므로 그 상처에 대한 치유 또한 하나님과의 영적인 관계 속에서 가능한 것이며, 세상 안의 수많은 관계 속에서 치유와 회복과 발전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나우웬에게 있어서 상처가 인간의 실존이라면, 장애(인)신학적 전망에서 본다면 장애야말로 인간 실존의 가장 대표적인 상처이다. 나우웬은 특히 긴 세월 장애인공동체에 살고 장애인과 함께 교제하면서 장애를 하나의 은사로 재발견하였다. 장애란 단순히 육체적이거나 정신적이거나 사회적인 손상이나 불능이나 불리가 아니라 세계와 공동체를 위한 것으로 공동체 가운데서 하나님의 위로와 격려와 역사를 일으키고경험하게 하는 성령의 은사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장애는 장애인에게도 은사이고, 비장애인에게도 은사이고, 공동체에게도 은사인 것이다.
    나우웬의 영성신학의 초기부터 말년까지 일관되게 흐르는 신학적주제는‘상처 받은 치유자’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인간은 수많은 고난 가운데 상처를 받는다. 예수 그리스도는 온갖 고난을 받으셨지만 오히려 그는 그 고난으로 우리의 고난을 위로하였고, 죄와 수치의상징인 십자가를 지셨지만 오히려 그는 그 십자가로 우리의 죄와 허물을 해결하였다. 오늘날 진정한 사역자란 상처가 없는 사람이나 상처를없애는 사람이 아니라 오히려 상처를 통하여 영성에의 길로 나아가고그 상처를 가지고 주님 안에서 상처받은 다른 사람을 위로하며 치유하는 사역자이다. 그런 점에서 장애 기독교인야말로 하나님의 사역에 있어서 진정으로 상처 입은 치유자의 대표라고 말할 수 있다.
    나우웬은 심리학자이면서 영성신학자이다. 그러나 그의 삶이 대학교의 강단보다 주로 장애인 공동체에 있었고, 학문적인 이론보다 주로 장애인과의 교제에 있었음에 그를 장애(인)신학자로 불러도 무방할 것이다. 고난과 상처와 장애와 더불어 살고 수행한 그의 영성과 신학을 고려할 때, 오히려 그를 장애(인)신학자라고 부르는 것이 정당하고, 그의영성과 신학 또한 오늘 우리의 장애(인)신학의 구성을 위하여 더 깊이연구해야 하며, 오늘의 장애(인)사역의 현장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실제적인 본으로서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Henri J. M. Nouwen was a theologian of ministry who gave calm but great inspiration to the pastors and lay people of the Korean church for the last 40 years. He saw suffering as the reality of modern people. So the spirituality he pursued in his whole life was that of a bridge between God and man with the problem of suffering.
    Especially, for the last 10 years of his life, he continued his work on spirituality and theology while in fellowship with the mentally challenged in a community of people with disability. This pap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disability, attempts to view him as a theologian of disability and his theology as the theology of disability.
    Nouwen viewed modern people as being covered with wounds. All human woundedness are basically spiritual and come from numerous relationships and events of our lives in this world. According to him,human beings are spiritual beings who need to rely on God, and they exist i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world. Therefore,the healing of the wound is possible in the spiritual relationship with God, and it should lead to healing, recovery and progress in many relationships in the world.
    If woundedness is human reality as Nouwen asserts, disabili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woundedness in human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theology. Especially, living and having fellowship in a communi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Nouwen rediscovered disability as a gift.
    Disability is not simply physical, mental or social damage, inability or disadvantage. Rather, it is for the benefit of the world and communities, and it is the Holy Spirit’s gift which ushers in God’s comfort and work and help us experience them in our community. In that regard, disability is a gift to the people with disability, to those without a disability and also to the community.
    From the early years to the last, the theological theme that is persistent in Nouwen’s spirituality is “wounded healer.” Every human being in this world gets “wounded” in numerous sufferings.
    Jesus Christ received all kinds of hardships, but through his hardships,he comforts us in our own sufferings. He bore the cross, a symbol of sin and shame, but through it, he took our sin and infirmities away. The true minister is not someone without a wound or who takes away the wounds, but someone who gets to deeper spirituality through the woundedness and is able to comfort and heal other wounded people in Christ. In that regard, a christian with disability is an excellent representative of a wounded healer in God’s ministry.
    Nouwen was a psychologist and a theologian of spirituality.
    Nonetheless, there is no problem with calling him a theologian of disability because he spent more time in the communit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rather than on the college podiums and also endeavored more in having fellowship with the disabled than in scholarly theories. It is rather proper to call him a theologian of disability when we consider his spirituality and theology which matured as he embraced suffering, woundedness and disability. We also need to study his spirituality and theology for the formation of our theology of disability, and they should be introduced and applied as a very useful model for disability mini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