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읍지를 통해 본 아산 지역의 조선 후기 사회·경제 변화 -越境地, 田結, 戶口의 增減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As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Eupji - Focusing on Yeojeok-gyeong (越境地), Land Holdings, and Changes in Populat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5.05
31P 미리보기
읍지를 통해 본 아산 지역의 조선 후기 사회·경제 변화 -越境地, 田結, 戶口의 增減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8권 / 1호 / 229 ~ 259페이지
    · 저자명 : 문경호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溫陽郡誌 , 新定牙州誌 , 新昌縣誌 , 忠淸道邑誌 등의 읍지를 토대로 18~19세기 아산 지역에 나타난 토지 결수와 호구 증감의 배경을 추적하였다. 읍지에 따르면 조선 후기 아산, 신창 등의 해안 지역에는 포락(浦落)-이생지(泥生地)가 생겨나 수원부와 갈등을 벌이고 있었다. 수원부에서는 아산, 평택, 신창, 면천 등에 새로 생겨난 이생지를 자기 지역의 포락지가 옮겨간 것이라며 소유권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생지를 개간한 토지 중 일부 지역에 새로운 궁방전이 설치되면서 세금을 징수할 수 있는 땅이 더욱 줄어들었다. 수원에 비해 읍세가 열악했던 아산현은 조정에 문제를 제기하여 수원에 빼앗긴 토지를 되찾고, 새로 설정된 궁방전을 폐지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의 배경에는 읍치 이전, 화성 축조, 장용영 설치 등으로 인한 수원부의 재정 부족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공진창의 기능이 약화된 것도 조선 후기 아산의 읍세가 약화되는 데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7세기 중․후반까지만 해도 선창을 가득 메웠던 조운선은 군현별 납부 제도와 조세의 금납화가 확산되면서 15척(이후 12척)으로 줄어들었다. 공진창의 기능이 쇠퇴하자, 공진에서 한양을 오가는 상선의 수가 급감하였고, 조졸(漕卒)을 비롯한 거주민들도 뿔뿔이 흩어졌다. 공진이 쇠잔해진 후 인근 지역에 간척된 토지도 모두 수원의 소유가 되었다. 이처럼 아산의 여러 곳에 생겨난 이생지를 수원이 차지하면서 아산, 평택, 당진 등에는 새로운 두입지와 월경지가 생겨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해일, 홍수, 가뭄 등의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특히 1807년 아산과 신창을 강타한 해일은 3년 동안 주민들의 삶을 더욱 어렵게 하였다. 제방이 무너져 농토가 복사되거나 물에 잠기고, 소금을 굽던 염분도 다른 지역으로 옮겨야 했다. 조정에서는 이재민의 구호를 위해 조세를 감면하고, 식량과 종자를 나누어 주었으나 인구의 감소를 막지는 못하였다.
    복합적 요인으로 작용한 인구와 토지 면적의 감소는 아산 지역의 사회 구조와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궁방전의 확장과 토지 지배권의 이전으로 조세와 역의 문제에 공백이 생기자 인근 주민들은 세금과 병역을 피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수원 인근으로 모여 세금 부담에서 벗어나려 하였다. 일부 주민들은 수원의 읍세에 기대어 아산현의 조세와 공납 징수를 무력화하려 하였다. 이처럼 조선 후기 아산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는 수도와 가깝고 해상 접근이 편리한 지역이 왕실과 유력 세력들에 의해 어떻게 침탈되었는지를 보여주며, 새로운 월경지와 두입지가 어떻게 등장하였는지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upji(邑誌) of the three regions-Onyanggun(溫陽郡), Asanhyeon(牙山縣), and Sinchanghyeon(新昌縣)-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o interpret the social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Asan region. The late Joseon era presented various crises for the Asan area. In addition to the pre-existing yeokgyeongji(越境地) within the territory, new yeokgyeongji emerged along the northern coast, claimed by Suwon. Also, gungbangjeon(宮房田)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western areas, further reducing the land available for tax collection.
    Moreover, between the late 18th century and early 19th century, natural disasters such as tidal waves, floods, and droughts occurred frequently. Notably, the tidal wave that struck Asan and Sinchang in 1807 devastated the lives of residents for three years. The government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to help the victims, but it did not prevent the population from declining. This recurring situation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tax revenue.
    The decrease in population and land area severely impacted the social structure and economy of the Asan region. The expansion of gungbangjeon(宮房田) and the reduction of land area left local residents feeling threatened in their livelihoods, which subsequently led to social unrest. Many farmers began to migrate to other regions or gather near Suwon to evade taxes and military service.
    The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Asan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exemplify how areas close to the capital and with convenient maritime access were exploited by royal households and powerful elites, as well as how new yeokgyeongji(越境地) and duipji(斗入地) emerged during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