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테러의 대응 방식으로서의 ‘창조적 분노’ - 2015년 11월 13일의 프랑스 파리 테러를 중심으로 (“Creative Anger” as a way to counter terrorism - focused on the Paris terror on 13 Nov. 2015)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7.09
26P 미리보기
테러의 대응 방식으로서의 ‘창조적 분노’ - 2015년 11월 13일의 프랑스 파리 테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15호 / 241 ~ 266페이지
    · 저자명 : 류재한

    초록

    이 글은 2015년 11월 13일의 프랑스 파리 테러 이후 극단주의와 테러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대응 방식의 분석을 통해 ‘창조적 분노’가 어떻게 작용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테러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분노와 저항이 소수집단의 일시적 의사표현에 그치지 않고 ‘참여’를 통한 지속적인 ‘형제애’의 실천과 ‘솔리다리테’의 확장의 형식으로 공감하고 있어서이다.
    “정당한 분노”와 ‘톨레랑스’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서 테러와 극단주의의 ‘앵톨레랑스’에 저항하는 “정당한 분노”가 공감을 통해 창조적 분노로 확장됨을 살펴보았다. ‘편견에 치우침 없는 공평함’을 지향하는 ‘톨레랑스’는 ‘앵똘레랑스’에 맞서는 “정당한 분노”를 함의하고 있다.
    프랑스 국가 <라 마르세이예즈>와 분노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프랑스 국가 <라 마르세이예즈>가 원칙과 가치의 훼손에 대해 어떻게 분노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분노의 ‘활용지침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라 마르세이예즈>는 특정 상황(여기서는 2015년 11월 13일의 테러)과 맞물려 강력한 사회적 분노 표현의 수단이자 상호 연대의 매개,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의 표현과 공감의 도구로 기능하고 있음에 주목했다.
    마지막으로, ‘창조적 분노’로서의 ‘참여’의 문제를 다루었다. 2015년 11월 13일의 파리 테러로 인한 프랑스인들의 사회적 분노는 단합과 ‘참여’ 즉 ‘형제애’와 ‘솔리다리테’의 표출의 촉매제가 된다. 보복과 응징의 동기가 아니라 “일상의 회복”을 위한 “참여”의 방식으로 기능하는 ‘창조적 분노’는 비폭력적 ‘참여’ 즉 ‘형제애’와 ‘솔리다리테’로 승화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the creative anger of the French operated after the Paris terror conducted by Islamic extremists on 13 November 2015 through the analysis of French responses. With regard to this crisis, it is notable that the French anger and resistance against terror is not just one-time demonstration but they have shown continuous fraternity and solidarity in a way of positive engagement.
    Firstly, an anger with good reason for human dignity and tolerance are investigated, which are closely related in French tradition. Thus the creative anger is based on the anger with good reason. It can be defined that the creative anger to restore human dignity is a kind of an anger with good reason to fight against injustice and express their anger. Tolerance is the righteousness without prejudice, which means generosity and broad-mindedness to counter intolerance as a result of exclusion and extremity. Thus the tolerance itself implies the righteous anger against intolerance and emotional tools to counter intolerance is a righteous anger to protect humanity with impartiality. It is also pointed that the righteous anger to fight against terrorism and extremists is extended to creative anger through sympathy.
    Secondly, it is analy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rench national anthem, La Marseillaise, sung together in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ir anger. La Marseillaise is a guidance on how to react and resent when their democratic principle and value were violated, which especially connotes the operation of collective anger to be used in a social emotion. It seems that La Marseillaise adopts a form of hatred and revenge. But it transforms their anger to righteous one in a positive way. The lyrics in the introduction of Verse 5 in La Marseillaise states that “Frenchmen, as magnanimous warriors. Bear or hold back your blows”, which clearly depicts the creative anger by French against intolerance from revenge and punishment. The creative anger denotes the solidarity in connection with the motto, “making it happen if united.” In connection with the terror on 13 November 2015 in Paris, the lyrics of La Marseillaise has been functioned as means of representing strong social anger, medium of social bondage, a language on the social anger against terrorism in the form of delivering resistance message, expressing fraternity and solidarity, and a tool of sympathy.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nger and engagement is analyzed. The terror on 13 November 2015 in Paris makes French very angry but their angry became the catalyst of expressing fraternity and solidarity. To restore everyday life, angry can be functioned in the way of engagement, not as a motivation of revenge and punishment. In consequence, creative anger is converted positively into non-violent engagement with popular participation, linked to fraternity and solidarity. It is noteworthy that the main group of emotional solidarity which converts social anger to creative anger is anonymous Fren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