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명학(因明學) 주요 개념의 분석적 이해―‘회토비월(懷兔非月)’ 논증식 분석을 위한 시론― (Analytic Understanding of the Major Concepts of Hetuvidyā: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the Thesis “acandraḥ śaśī”)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3.08
33P 미리보기
인명학(因明學) 주요 개념의 분석적 이해―‘회토비월(懷兔非月)’ 논증식 분석을 위한 시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89호 / 31 ~ 63페이지
    · 저자명 : 고승학

    초록

    역설적⋅모순적 언어는 일상적으로는 접근 불가능한 심오한 종교적⋅철학적 통찰을 나타내기 위해 종종 사용되지만, 논리적으로 명료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논서나 주석서에서는 그 사용을 억제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불교인식논리학, 곧 인명(因明=hetuvidyā) 전통의 오류론 역시 비슷한 목적에서 출현하였다. 이러한 인명 전통에 대해서 서양의 분석철학 전통과의 비교 연구가 종종 행해지지만, 인명 관련 문헌에는 난해한 용어와 예시가 많이 등장하고, 그문헌들의 한역과 주석 과정에서도 각종 난제들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인명정리문론과 인명입정리론에 소개된 ‘회토비월(懷兎非月=acandraḥ śaśī)’의 논증식을 분석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서 디그나가(Dignāga=陳那)가 고안한 인명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분석적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먼저 논증식의 일반적 구성 요소인 삼지(三支)와 인(因)의 삼상(三相) 개념은 약간의 수정을 가하면 현대 기호논리나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한다. 특히 삼지작법은 형식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과 유사해 보이지만, 근거나 예시를 경험 속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존재 함축을 지닌다는 점에서 연역 추리와 귀납 논리의 결합을 보여준다. 이는 또한 삼단논법의 시각적 이해를 위해 널리 활용되는 벤 다이어그램을 통해 논증식을 표시할 때 특정 구역이 공집합인지 아닌지를 통해 검토하여 그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토비월’ 논증식의 논리적 타당성 검토 또한 이에 기초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e sometimes use paradoxical or contradictory words to reveal profoun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sights inaccessible to ordinary experience. However, we tend to refrain from using such words when it comes to composing treatises or commentaries that aim at logical clarity. The Buddhist tradition of logic or hetuvidyā has presented theories of fallacies with the same purpose. While this hetuvidyā tradition has been studied with a comparative approach of Western analytic philosophy, its literature is still full of difficult terms and examples. Moreover, Chinese translations of the Indian hetuvidyā treatises as well as Chinese commentaries continuously pose difficult problems for research.
    This paper aims at having an analytic understanding of the major concepts of Dignāga’s hetuvidyā system, as a preliminary step to explicate the statement “acandraḥ śaśī” (a hare-bearer is not the moon), which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lokaviruddha in the Nyāyapraveśaka and the Nyāyamukha.
    To attain this goal, this paper first clarifies that general components of logical formulae, such as three-part syllogisms and three qualities of the reason (trairūpya), can be easily rendered into the form of symbolic logic and Venn diagrams with some modifications. In particular, the three-part syllogism of hetuvidyā may appear similar to Aristotelian syllogism. However, the former has an existential import in that reasons and examples should be confirmed in experience, as it has its own peculiarities in which deductive reasoning and inductive logic are combined. This also means that when one represents hetuvidyā formulae with Venn diagrams, which are widely used for a visualized understanding of syllogisms, one should be able to verify their logical validity by examining whether a specific area in the diagrams is a null set or not. Examination of the logical validity of the statement “acandraḥ śaśī”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