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참여시와 경제 균등의 사상- 4월혁명 직후 경제민주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 (The 1960s' Engagement Poetry and Thought of Economic Equality- Focusing on Discourse of Economic Democracy Directly after April Revolution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6.11
32P 미리보기
1960년대 참여시와 경제 균등의 사상- 4월혁명 직후 경제민주주의 담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61호 / 251 ~ 282페이지
    · 저자명 : 박대현

    초록

    1960년대 참여시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현실비판의 주제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4월혁명 전후로 발표된 시들은 민주주의와 자유뿐만 아니라 ‘경제균등’에 대한 정동을 뚜렷이 드러낸다. 특히 『민족일보』를 비롯한 현실참여적인 여러 매체를 통해서 빈곤, 노동, 경제균등에 대한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시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4월혁명 직후 활발히 논의된 경제민주주의 담론과 무관하지 않다. 4월혁명은 일반적으로 자유와 민주주의의 쟁취를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이면에 작용하고 있었던 하층민의 경제적 불만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4월혁명 직후의 경제민주주의 담론이 그 방증이다. 1960년대 초반의 참여시가 이러한 경제균등의 정동을 표출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60년대 참여시의 알려지지 않은 이면을 확인시켜준다. 4월혁명을 전후로 경제균등의 열망을 드러냈던 참여시의 양상은 당대의 경제민주주의 담론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1970년대에 본격화되는 민중시, 노동시, 농민시의 기원이 어디서 비롯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udies on 1960s' engagement poetry generally have tended to be limited to subject such as liberty and democracy. But the poems around the April Revolution showed palpably affect for not only democracy and liberty but also economic equality. A plenty of poems, critical about poverty, labor exploitation and economic inequality, were published in several engaging media including 'Minjok-ilbo' particularly. Such flow was relevant to discourse of economic democracy which was actively discussed immediately after the April Revolution. Though being known as mainly pursuing liberty and democracy, the April Revolution must need to be focused on economic complaint, which related to discourse of economic democracy, in people of lower classes beneath its surface. It is an unknown fact that engagement poetry of 1960's had expressed affect for economic equality. That is to say, aspect of engagement poetry revealing aspirations for economic equality isn't independent of discourse of economic democracy. This fact demonstrates what people poetry, labor poetry and peasant poetry regularized in 1970s resulted fr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