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용 수 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 (T h e A p p e a ra n c e and D isa p p e a ra n ce o f S u ffe rin g in th e M i^arnadhyarnaka-karika o f N ag arju n a : C e n te r in g a r o u n d th e C o m m e n ta rie s o f C a n d r a k lr ti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2.12
28P 미리보기
용 수 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4권 / 223 ~ 250페이지
    · 저자명 : 남수영

    초록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고 통 의 발 생 과 소 멸 을 『중 송 』 및 그 에 대 한 월 칭 과 청 목 의 주 석 을 중 심 으 로해 서 살 펴 보 았 다 . 그 것 을 정 리 하 면 다 음 과 같 다 .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있 으 며 ,자 성 은 변 화 하 지 않 는 것 이 라 고 말 해 진 다 . 그 러 므 로 유 자 성 론 에 서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중 심 으 로 하 는 사 성 제 도 올 바 르 게 설 명 될 수 없 다 . 또 한 유 자 성 론 에 서 는사 성 제 가 성 립 하 지 못 하 기 때 문 에 삼 보 도 성 립 하 지 못 한 다 . 한 편 용 수 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ᅳ희론의 발생ᅳ분별의 발생— 번 뇌 의 발 생 一 > 업 의 발 생 一 > 고 통 의 발 생 으 로 설 명 되 고 ,고 통 의 소 멸 은공 성 의 자 각 ᅳ 희 론 의 소멸 ᅳ 분 별 의 소멸 ᅳ 번 뇌 의 소멸 ᅳ 업 의 소멸ᅳ 고 통 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같 은 사 실 을 알 수 있 다 . 즉 부 파 불 교 의 유 자 성 론 에 서 자 성 의 개 념 은 인 연 의부 정 ,인 과 의 부 정 ,생 멸 의 부 정 을 내 포 하 기 때 문 에 ,고 통 의 발 생 과 소 멸 에 대 한 설 명 이 모 두 힘 들 어 지 지 만 , 용 수 의 무 자 성 론 에 서 는 일 체 법 이 비 존재의 자 성 을 가 진 다 고 말 하 지 않기 때 문 에 고 통 의 발 생 을 설 명 하 는 것이용 이 해 지 고 , 존 재 의 자 성 을 가 진 다 고 말 하 지 않기 때 문 에 고 통 의 소 멸 을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 라 서 용 수 에 게 일 체 법 의 무 자 성 성 과 공 성 을 자 각 하 는 것 은 고 통 을 소멸하 고 열 반 을 성 취 하 는 가 장 중 요 한 요 건 이 다 . 그 리 고 무 자 성 성 과 공 성 에대 한 자 각 은 연기 에 대 한 자 각 으 로 부 터 얻 어 진 다 . 즉 연 기 인 사 물 은 무자성이 고 , 공 이 고 , 가 명 이 고 , 중 도 인 것 이 기 때 문 에 , 존 재 성 과 비 존 재 성 을 갖지않 는 다 . 그 러 므 로 수 행 자 는 일 체 법 이 연 기 의 결 과 물 이 라 고 하 는 진 실 을깨 달 음 으 로 써 , 모 든 사 물 들 이 마치 석 녀 의 딸 처 럼 무 자 성 이 고 공 인 것 을깨 닫 게 된 다 . 그 리 고 그 와 같 은 자 각 에 의 해서 희 론 과 분 별 과 번 뇌 와 업이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 송 』에 서 발 견 되 는 세 종 류 의 연 기 설 과 공 성 의 자 각 , 그 리 고 열 반 의관 계 는 다 음 과 같 다 . 즉 세 속 제 에 근 거 해 서 설 해 진 가 르 침 인 12연 기 설 과상 호 의 존 적 연 기 설 에 의 해 서 일 체 법 은 무 자 성 이 고 공 이 라 는 승 의 제 가 알려 진 다 . 또 한 수 행 자 는 승 의 제 에 근 거 해 서 설 해 진 가 르 침 인 팔 불 연 기 설 을통 해 서 승 의 제 를 더 욱 분 명 하 게 깨 닫 게 된 다 . 그 리 고 그 는 그 런 깨 달 음 을통 하 여 희 론 과 분 별 과 번 뇌 와 업이 소 멸 하 고 , 윤 회의 고 통 도 소 멸 한 ‘ 길 상(吉 i洋)의 특 징 인 열 반 ’ 에 도 달 하 게 된 다 는 것 이 다 .

    영어초록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 hy Nagarjuna asserts that th e fo u r n o b le truths an 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 a tu re theory o f Sarvastivada, N agarjun a's ex p lan atio n o f the appearance an d disappearance o f su fferin g based o 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 n MiHarmdhyamaka-karika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 f Candraldrti and Pirigala o f this article. I 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죠stiva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 f d h arm a is determ ined to n o t w a it fo r a cause a n d c o n d itio n , and never change. T 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 f San^astivada can n o 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 f dharm as and the fo u r no ble truths, w h ich are the e x p lan atio n o 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 f suffering. I f the fo u r n o b le truth s can n o 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 o t be established.
    O 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 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 o n aw : areness o f em ptiness -— the appearance o f a m p lific a tio n 구 the appearance o f m istaken idea the appearance o f a fflic tio n the appearance o f action —^ the appearance o 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 f s u ffe rin g is explained as follow s : awareness o f em ptiness 一 숙 the disappearance o f am p lifica tio n ~ ^ the disappearance o f m istaken idea 수the disappearance o f a fflic tio n the disappearance o f a c tio n disappearance o f su fferin g in M ulam adhyam aka-karika o f N agarjun a.
    The com parison o f the two explanations o f Sarvastivada and Nagarjuna o n the appearance an d disappearance o f su fferin g shows the fo llo w in g facts. T h e Sarvastivada can n o 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 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 f self nature contains the n e g atio n o f cause and c o n d itio n , the neg ation o f cause an d effect, and the negation o 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 ow ever, N agarjuna can e x p lain the appearance o f su fferin g because he does n o t claim the self nature o f non-being to all dharmas, b u 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 f s u ffe rin g because he does n o t claim the se lf nature o f b e in g to all dharm as.
    T here fore, the awareness o f n o n se lf nature an d the em ptiness o f all dh arm as is the m o st im p o rta n t requisite fo r the disappearance o f su ffe rin g an d fo r the achievem ent o f nir\rana. F urthe r, the awareness o f n o n self nature and the em ptiness o f all dharm as is ob tain e d by the awareness o f the dependent origin ation . A ll o 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 o t have se lf nature o f b e in g o r n o n being, because they are n o n se lf nature, em ptiness, p ro v is io n a l nam e, an d the m id d le way.
    T he d is c ip lin a n t becom 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 o n s e lf nature and em pty, sim ilar to a barren w o m an's dau 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 u tp u ts o f the d epen dent o rig in atio n . A n d th ro u g h that awareness, the a m p li五 cation, the m istaken idea, the afflictio n ,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 fferin g o f transm ig ration disappears last.
    T he re lation o f the three kinds o f theories o n depen dent origin ation , the awareness o f em 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 s. The highest truth o f n o n se lf nature an d the em ptiness o f all dharm as becom e k n o w n by the twelve links o f dependent o rig in a tio n an d the in terdepende nt origination, \너 lic h are suggested by the m 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 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 e p e n d e n t o rig in atio n , w h ich is s u ^ e s te d by the highest truth. F 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 hich am plification, m ista k e n idea, a fflic tio n , action , and the su ffe rin g o f transm ig ration disappear.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