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월혁명과 북한문학―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문학신문』을 중심으로 (The April Revolution and North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the Joseon Writers Alliance Bulletin 『Munhak Sinmu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1.07
34P 미리보기
4월혁명과 북한문학―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문학신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0호 / 133 ~ 166페이지
    · 저자명 : 이순욱

    초록

    이 글은 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 『문학신문』 1960년 3월치부터 12월치까지를 대상으로 4월혁명 시기 북한문학계의 인식과 동향을 살피고 4월혁명시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학신문』은 북한당국의 시각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주간지로, 당시 4월혁명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매체이다. 당시 북한문학계에서는 남한의 문학을 제국주의 침략 정책을 예찬하고 퇴폐적 부르조아 문학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에 놓여 있는 반동문학으로 간주하였는데, 4월혁명은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온 남조선해방에 대한 주제를 더욱 증폭시키고 강화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북한은 4월혁명을 ‘남조선 인민봉기’로 인식하였으며, 인민봉기가 미제국주의의 지배와 이승만 정권의 폭압 정치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반동적인 부르조아 문학을 청산하고 항쟁에 궐기한 인민의 혁명적 이상을 작품에 담으라는 요구는 천리마시대의 북한문학이 강조하는 공산주의적 창작기풍이자 핵심주제였다.
    4월혁명 시기 북한문학계에서는 당과 조선작가동맹의 요구에 따라 4월혁명을 형상화한 작품을 두루 창작하였는데, 대체로 당 중앙위원회의 호소문이나 공동성명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었다. 4월혁명을 형상화하는 일은 북한 문학인들의 긴급한 임무 가운데 하나였다. 이를 통해 인민대중에 대한 정치사상교양을 제고시키고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고취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문학신문』에서 4월혁명을 형상화한 작품은 시가 지배적이었는데, 호흡이 긴 소설이나 희곡보다는 시 갈래가 당시의 급박했던 상황에 대한 대응 논리를 갖추는 데 적합했기 때문이다. 대체로 미국과 이승만 정권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 국군 장병의 시위 참가 독려, 마산과 김주열의 영웅적 투쟁성 강조, 조국통일에 대한 이상,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 등을 일관되게 표출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trend of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April Revolution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about the April Revolution by taking a close look at the Joseon Writers Alliance Bulletin 『Munhak Sinmun』 from March to December editions in 1960. 『Munhak Sinmun』 is a weekly newspaper which state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Joseon Writers' Alliance, but firmly reflects the logic of the Communist Party and the government. Newspapers, the medium with highest mobility, is the best source to have a three-dimensional look at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April Revolution in South Ko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The 『Munhak Sinmun』 editions published in 1960 unusually devoted a lot of space to the April Revolution with relevant political analysis, editorials and literary works published from the front page to fourth page. In particular, its political analysis and editorials reflected the North Korea’s perspectives on the April Revolution as they mirrored political position of the Communist Party as well as the viewpoints of the Joseon Writers’ Alliance.
    Through political analysis, where key members of the Joseon Writers’ Alliance contributed,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April Revolution can be found. North Korea sees it as a ‘popular uprising in South Korea,’ derived from American rule and oppressive politics by the Lee, Seung-man regime. It urges South Korean writers, therefore, to disclose the repressive policies of the American rule and the then South Korean President Lee, Seung-ma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which thought of the literature in South Korea as a reactionary literatu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British and American bourgeois literature, demanded that South Korean writers should abandon the bourgeois literature and reflect revolutionary ideals of the popular uprising in their literary works. These requests were in line with the communist ethos and key subjects of the North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Cheollima Period.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produced various literary works embodying the April Revolution at the request of their party and the Joseon Writers’ Alliance. These works mostly embraces a letter of appeal to South Korea or a joint statement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As a result, it seems that not only newspapers with a high level of mobility but many other fields in cultural and arts sector produced and distributed diverse April Revolution-themed art works. It was an important challenge facing artists, but also a part of popular culture campaign designed to involve the public in literary works by popularizing literary art activities. This way, the North Korean cultural and art communities strived to further develop general education on political ideologies and instill the superiority of the socialism to the public.
    Poems accounted for the absolute majority of the literary works describing the April Revolution in 『Munhak Sinmun』 , while there were only three plays and novels. North Korean literary community's reaction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April Revolution period seems more suitable for poems than novels or play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April Revolution-themed poems are criticiz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Lee, Seung-man administration, inciting South Korean soldiers to a protest, emphasizing heroic struggle of Kim, Ju-yeol in Masan, dreaming of the reunification and praising the superiority of the socialist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