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근대식 기생제도의 시작’에 관한 연구 -1908년 9~10월, 1909년 3월에 작성된 ‘기생(妓生)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ibliography of Documentation on Kisaeng and Ch'anggi and The Beginning of the Modern Kisaeng System – Focusing on ‘the documents related to Kisaeng’ written in September to October 190)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2.12
49P 미리보기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해제(解題)와 ‘근대식 기생제도의 시작’에 관한 연구 -1908년 9~10월, 1909년 3월에 작성된 ‘기생(妓生) 관련 서류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69호 / 165 ~ 213페이지
    · 저자명 : 미즈타니 사야카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구성하고 있는 총 4종류의 문서군 가운데 2번째 문서군인 ②「기생단속령(근대식 기생제도)」의 제정 준비부터 발령, 시행, 세부지침, 신고서 양식 등에 이르기까지의 ‘기생 관련 서류들’(1908년 9~10월, 1909년 3월)을 중심으로 구체적이고 정확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이 ‘기생 관련 서류들’에 담긴 내용을 하나하나 상세하게 해제(解題)하였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거의 대부분은 고(古) 일본어와 구즈시지(崩し字)의 일본어(日本語)로 작성되어 있고, 한국의 국한문(國漢文)과 구(舊)한글로 작성된 문서들은 모두 먼저 일본어로 작성된 법령이나 규약, 청원서, 신고서 양식 등을 국한문 또는 구(舊)한글로 옮겨놓은 것이다. 즉 대한제국 말기 한반도의 ‘가무(歌舞) 전문 예술인(藝術人)이었던 기생(妓生)들’을 대상으로 한 ‘근대식 기생제도’와 ‘매음(賣淫)을 전업으로 하던 창기(娼妓)들’을 대상으로 한 ‘공창제도(公娼制度)’는 모두 일제 통감부(統監府)가 정책을 마련하고, 법령을 제정ㆍ발포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세부적인 지침들을 마련해서 실제 일본인 경찰들에게 관리ㆍ감독(取締, 취체)하게 했던, 일제(日帝)라는 식민 지배자에 의해 만들어진 ‘근대식 기생제도(妓生制度)’이며, 일제에 의해 강제로 이식(移植)된 일본식 ‘공창제도(公娼制度)’이다.
    결론적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여악(女樂)’이라는 한반도의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해 온 한국의 ‘기녀(기생)제도’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전환기인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스스로의 힘으로 ‘근대식 기생제도’로 전환되지 못하고,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에 의해 타의적이고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이 명백히 기록된 타자에 의한 역사적 상흔(傷痕)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detailed and accurate analysis of the documents related to Kisaeng in September to October 1908 and March 1909, encompassing Kisaeng regulation acts, or the modern Kisaeng system, from its legislative preparations, appointments, enforcement, and detailed guidelines to its declaration forms, and so forth. The Kisaeng regulative system is the second document group out of a total of four types of documents that consist of Documentation on Kisaeng and Ch'anggi. Through this examination and analysis,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se Kisaeng-related records were delicately bibliographed while maintaining academic objectivity and neutrality.
    The greater part of the documentation on Kisaeng and Ch'anggi is written in Ancient Japanese and kuzushiji Japanese, and all documents written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nd formerly-used Hangŭl are laws, regulations, petitions, declaration forms, and so on. The latter were initially written in Japanese and then transcribed into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or formerly-used Hangŭl.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the Residency-General of the Japanese occupation established policies, and enforced and promulgated regulations in terms of both ‘the modern Kisaeng system’ targeting Kisaengs who were professional artists in song and dance, and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targeting Ch'anggi who were full-time sex workers. In other words, this was ‘the modern Kisaeng system’, which prepared detailed guidelines in stages and were managed, supervised, and controlled in practice by Japanese police officers according to the colonial rule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was Japanese-styl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forcibly transplanted by the Japanese occupiers.
    In conclusion, ‘the documentation on Kisaeng and Ch'anggi’ shows how the Kinyŏ (Kisaeng) system, which inherited yŏak, the traditional culture and 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spanning from the Koryŏ Dynasty to the Chosŏn Dynasty, could not be converted into a modern Kisaeng system by itself during the Korean Empire’s modernization. The documentation is a historical scar and trace of others’ explicit recordings of past acts that were forcibly done against people’s will by the police authority of the Residency-General of the Japanese occup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