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정교 ․ 춘양교로 본 신라 왕경의 교량과 월성 이남 개발 양상 (Bridges in the Silla's Royal Capital and Development of Southern Wolseong (月城) viewed from the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 Sit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24.06
34P 미리보기
월정교 ․ 춘양교로 본 신라 왕경의 교량과 월성 이남 개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4권 / 187 ~ 220페이지
    · 저자명 : 김경열

    초록

    본고는 신라 왕경 내의 교량과 그 속에 포함된 월정교 ․ 춘양교의 의미와 역할, 더 나아가 월성이남지역의 대지개발 양상에 대한 시론적인 고찰이다. 먼저 문헌자료 및 고지도를 통해 신라 왕경 내 교량(금교, 귀교 등)의 위치를 간략하게 추정하였다. 또한 현재 왕경 내에서 확인되는 교량은대부분 남천변에 집중되어 있음을 주목해 보았다. 이러한 현상이 확인되는 이유는 북천이 하상계수가 높은 하천이기 때문으로 보았다. 즉 유량이 안정적으로 흐르는 남천과 달리 북천은 임시로 사용되는 섶다리나 부교, 징검다리와 같은 다리만 존재한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유이하게 교량의 위치가 확인된 월정교 ․ 춘양교의 축조 기술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여기에서 확인된 특징은 동 시기에 축조된 교량에서 기술적인 차이가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차이는 두 교량 간에 위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교량의 위계 차이는 왕과 태자를상징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두 교량이 축조된 경덕왕대는 태자를 위한 여러 사업들이 활발히진행되었으며, 월정교 ․ 춘양교가 건립된 직후 태자가 책봉되었다. 특히 각 교량의 명칭 또한 왕과 태자를 상징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 점도 유의된다. 따라서 월정교는 왕, 춘양교는 태자를 위한 교량으로 추정하였으며, 월정교와 춘양교는 왕궁역의 구획 및 구조 완성의 의미로 판단하고자 하였다.
    두 교량의 축조 시점을 전후로 월성 이남 지역의 재개발 현상이 발굴조사를 통해서 확인되고있다. 예를 들어 인왕동 사지의 완성과 천관사지의 건립, 주변의 여러 도시유적도 이러한 특징이확인되고 있다. 더욱이 탑동의 경우는 무덤군이 파괴되면서 도시가 재개발된 양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월정교 ․ 춘양교 건립시기를 즈음하여 월성 이남 지역은 도시의 확장과 더불어 가로 구획이 정비된 도시가 들어섰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라 왕경의 도시발전 도식을 정리하자면 6세기 중 ․ 후엽에 황룡사를 중심으로 하는월성 동북편과 초기 사찰 건립이 중심된 서천변 개발, 남산신성을 위시한 월성 이남 개발 등이 1 단계가 될 것이다. 이후 7세기 후~8세기 초엽에 걸쳐 동궁과 월지, 사천왕사, 전랑지와 더불어 북천 이북까지의 도시계획이 진행되는 2단계, 8세기 중 ․ 후엽 이후 월정교 ․ 춘양교와 월성 이남지역이 재개발되는 3단계로 왕경 발전 단계를 설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oyal capital of Silla Bridges and the urban development aspects of the southern Wolseong area. This paper is described the meanings and roles of Silla bridges from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s Sites. First, It is assumed that the locations of bridges (Geumgyo Bridge, Gwigyo Bridge, etc) in the Silla capital by the literature and old maps. It is a noticeable feature which most of Silla capital bridges are located on along the Namcheon River. Because, the Bukcheon River had a high coefficient of flow fluctuation it is assumed that Bukcheon River had led to only simpler crossings such as the temporary bridge or stepping stones, in contrast to the Namcheon River's case.
    Next,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struction technology by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 Sites where the locations are confirmed bridges. There is a noticeable feature, different construction technologies are found among the same period bridges. This is understood that the two bridges have a different hierarchy. This gap is thought to symbolize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were carried out various projects for the crown prince and the crown prince was appointed to set after the completion of Woljeonggyo and Chunyanggyo Bridge. Especially, it is noticeable feature each bridge's name also contains symbolic meaning of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Woljeonggyo Bridge is for the king and Chunyanggyo Bridge is for the crown prince. The construction of two bridges is understood that were completed the sections and structures of the royal palace.
    It is found that the redevelopment aspect of the southern Wolseong area was around the time of the two bridges' construction. For example, it appeared this feature that the completion of the Inwang-dong temple site, the Cheongwansa temple construction and several urban sites excavation. Moreover, in the case of Tap-dong is surveyed which the tomb group was destroyed before the urban redevelopment by the excavation of this area.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street organization and the urban expansion in the southern Wolseong area,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Woljeong Bridge and Chunyang Bridge.
    To summarize the urban development in the Silla capital, the first stage centres on the three place developments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the Hwangnyongsa Temple construction in the northeastern area of Wolseong, the early temples in the Seocheon riverside and the southern Wolseong with Namsansinseong Fortress. The second stage is the urban expansion until the north side of Bukcheon River in the late 7th century to the early 8th century with the places of Sacheonwangsa Temple, Seongdong-dong Jeolangji and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t last, the third stage of the Silla capital could be the redevelopment in the southern Wolseong area with Woljeong Bridge, and Chunyang Bridge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