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구월(李久月)이 나아간 아동문학의 길과 자리 (A Study on the World of Lee Gu-wol's works in inquiring into Children's Literature - Focused on finding his life and literary works as much as possible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3.12
37P 미리보기
이구월(李久月)이 나아간 아동문학의 길과 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5호 / 177 ~ 213페이지
    · 저자명 : 박경수

    초록

    이 글은 이구월(李久月, 1904~?)의 생애를 가능한 대로 확인하고, 그가 남긴 문학작품들을 찾아서, 특히 광복 이전 그가 집중 추구했던 아동문학의 활동 면모와 작품 세계를 처음으로 밝히고자 한 것이다. 주요 논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구월은 필명이며, 본명은 이석봉(李錫鳳)이다. 1904년 마산에서 태어난 이구월은 1925년부터 김해보통학교 근무를 시작으로 교직에 종사했다. 1928년부터 1936년까지 통영보통학교에서 9년간 봉직하는 동안 문학 활동을 집중 펼쳤다. 광복 후에 동시집 『새봄』(1949)을 간행하고, 1962년까지 생존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그가 부산에서 사망했다고 하나 정확한 사망년도는 아직 알 수 없다.
    둘째, 이구월이 남긴 문학작품으로 현재까지 필자가 찾은 작품은 시 20편, 동시․동요 72편(실제 발표 작품은 70편), 동화 4편, 수필․기타 7편으로 총 103편이다.
    셋째, 이구월은 동시ㆍ동요, 동화 작품을 주로 쓴 아동문학가이다. 특히 동시ㆍ동요를 주로 창작했는데, 『조선일보』, 『중외일보』, 『동아일보』의 일간지 매체에 주로 작품을 발표하다가 『신소년』, 『별나라』로 매체를 옮기면서 프로아동문학가로서 활발한 활동을 했다.
    넷째, 이구월의 동시ㆍ동요는 초기(1928~1929. 8), 중기(1929. 9~ 1933), 후기(1934~)로 구분될 수 있다. 초기의 동시ㆍ동요는 자연 현상과 자연적 대상들을 중요한 소재로 삼은 작품들로, 아이들의 동심을 밝고 긍정적인 시각에서 묘사한 작품들이 주류를 이룬다. 중기의 동시ㆍ동요 작품들은 프로아동문학 활동의 산물들이다. 그의 프로동요 작품들은 프롤레타리아동요집 『불별』(1931. 3)에 8명의 동인들 중 가장 많이 게재되었는데, 이들 7편의 작품을 통해 그 면모를 뚜렷이 파악할 수 있다. 이들 작품들은 아동들이 겪거나 보는 계급모순의 현실을 주로 부각시키는 작품들인데, 그렇다고 계급투쟁의 의지를 강력하게 표명하지는 않았다. 후기의 작품들은 초기 동시ㆍ동요의 세계로 복귀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구월의 아동문학 활동은 거의 통영지역에서 이루어졌다. 그런데 그는 당시 통영지역 문인들과 소통하기보다 프로아동문학의 길을 가면서 진주지역과 연고를 가진 이들을 비롯하여 전국의 프로아동문학을 추구했던 이들과 주로 소통하고 어울렸다.

    영어초록

    This is about the life and works of author Lee Gu-wol (1904 – unknown). I have researched his life as much as possible to find his literary works. This is the first research of Lee Gu-wol's and the world of his works in inquiring into children’s literature. The summary of my major discussions are below.
    First, Lee, Gu-wol is a pen name and his real name is Lee, Suk-bong. He was born in Masan in 1904 and he started to work as a teacher at Kimhae elemantary school from 1925. Between 1928 to 1936 he focused on literary works while working at Tongyeong elementary school for 9 years. After liberation, he published ‘Sae-bom’(the New Spring), a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1949). It has been confirmed that he was still alive until 1962. It is believed that he passed away in Busan but no one knows when exactly.
    Second, his literary works; So far I have found 20 poems, 72 children’s poems and songs (actual released works are 70), 4 children’s stories, 7 essays etc, a total of 103 works. His work will be added if more items are found.
    Third, Lee, Gu-wol is a children’s author whose main works involved children’s poems, songs, and stories. His main works were children’s poems and song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Chosun Daily news, Jungweo Daily news, Donga Daily news. He started to write for the ‘Sin-sonyun’ (the New Boy), ’Byul-nara’ (the Star Land) and became a professional children’s author at this point.
    Forth, his children’s poems, songs are divided into early works (1928 – Aug. 1929), mid works (Sep. 1929 – 1933), and the later works (1934 - unknown) His early poems and songs are subject of natural phenomenon and objects and describe the purity of childhood in a bright and positive point of view. The mid works are the outcome of his professional children’s literary work activities. His professional song works appeared the most among 8 fellow authors in proletarian children’s song collections ‘Bul-byul’ (the Firing Star) (Mar. 1931), we can understand his aspects clearly throughout his 7works during this period. These works high light the class contradiction's that children experience or see but he did not express these struggles strongly. Later works show that he came back to the early poems and songs’ world.
    Lee Gu-wol’s children’s literary activities were in Tongyoung area. However he didn’t communicate with any other authors in that area. As he was on the verge of becoming professional he only communicated with fellow professional authors and hung out with Jinju area fellow authors and national professional authors. This is the reason why we can’t tie his work to only the Tongyoung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