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월초파일 연등회 관등 풍속과 문화콘텐츠 (Manners and Cultural Contents of April 8th YeonDeungHo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4.05
44P 미리보기
4월초파일 연등회 관등 풍속과 문화콘텐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59권 / 93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윤수

    초록

    연등회는 1,200여 년의 역사 동안 백성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어져온 민족의 축제이다. 정월대보름에 신라 경문왕이 황룡사로 거둥해 연등을 보고 백관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다는 기록 이래 신라의 연등축제는 고려로 계승되었다. 정월대보름과 2월보름에 행해지던 보름 연등회는 태조신앙을 중심에 둔 국중행사였다. 소회일 저녁에는 왕이 봉은사로 행행하면서 거대한 행렬이 장관을 이루었으며 오가는 길목에서는 다채로운 기악잡기가 연행되었다. 연등회의 소회일(小會日)과 대회일(大會日), 이틀동안 군신이 하나돼 어우러지는 의례와 연회가 펼쳐졌으며 대회일 밤은 화려한 연등을 보며 즐기는 관등놀이가 이어졌다. 그런데 고려 중엽 이래로 이같은 국가차원의 보름 연등회와 별도로 백성들이 중심이 된 4월초파일 연등회가 번져가기 시작했다. 무신정권이 왕 위에 군림하던 시대에는 국중행사인 보름 연등회보다 장대한 4월초파일 연등회가 이어지기도 했다. 이후로 4월초파일 연등회는 기능을 상실한 보름 연등회를 대신해 백성들의 축제로 계승되었다.
    억불숭유정책을 앞세우며 건국한 조선에서도 4월초파일 연등회는 백성들이 주도하며 즐기는 나라 안의 큰 축제였다. 유학자들의 무수한 상소가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4월초파일 연등행사는 궁궐에서도 화려하게 치러졌다. 실록에 따르면 태종 이래 영조에 이르기까지 역대의 왕들이 4월초파일 마다 수백 개에서 수만 개의 등불을 궁 안에 밝혀 놓으며 관등놀이를 즐겼다. 또한 실록에는 헤아릴 수 없이 다종다양한 ‘등’ 이름들이 거명되고 있으며 이러한 ‘등’을 만드는 장인(匠人)들이 별도로 존재했다. 왕은 4월초파일에 신하들에게 옥등을 하사하고 인원왕후의 경우는 진주등을 손수 만드는 궁궐문화가 있었다.
    조선의 4월초파일 연등회는 사대부 유학자에서부터 가난한 서민에 이르기까지 집집마다 가족 수 만큼 ‘등’을 달고 ‘관등’을 즐기는 날이었다. 이 땅의 명소를 노래한 8경시 가운데 <종로관등(鐘路觀燈)>의 장관을 읊은 시편들이 여럿 전하고 있다. 남산관등을 묘사한 <척헌관등(陟巘觀燈)>과 자하문에서 바라보는 관등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자각관등(紫閣觀燈)> 역시 한양을 대표하는 8곳의 명소 중에 하나로 꼽혔다.
    남산은 종로와 더불어 백성들이 향하던 관등의 명소였다. 특히 노인들은 생전에 남산관등을 꿈꾸었다. 지방에서도 평생 소원을 풀기 위해 노인들이 상경해서 서로 이끌고 의지하며 남산에 올라 관등을 즐겼다. 어르신을 등에 업고 남산에 오르는 것이 효의 관례가 되었다고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조선시대 4월초파일 연등회 풍속 가운데 오늘날 되살리고 계승해야 할 풍속을 축제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정리하고 오늘의 축제로 자리매김 하게끔 제안하였다.
    첫째, 궁궐문화콘텐츠로 현행 ‘살아 숨쉬는 5대궁 만들기’ 사업과 연등회를 연계하는 일이다. 궁궐 안에서 연등이 가장 아름다웠다는 창덕궁 어수당 관등을 비롯해 실록과 문집에 등장하는 궁궐의 연등장면을 연등회 기간 중에 되살릴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비단등, 양각등을 비롯해 기록으로 전하는 전통등을 재현하여 연등한다면 궁궐안의 4월초파일 축제가 얼마나 기품있는지를 말없이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서울시 차원에서 한양의 명승지를 소개한 8경 문학작품과 인연있는 장소들을 되찾아 놓는 일이 필요하다. 이는 600년 전 선조들이 사랑한 명소를 찾아 떠날 수 있는 기회이다. 기존의 것을 허물고 새로운 것을 만드는 일이 익숙한 시대에 6백년전 선조의 사상과 미학과 풍류, 그리고 축제문화를 되살리는 일이자, 잊혀지고 사라진 한양의 야름다움을 되찾는 과정이 될 것이다.
    셋째, 4월초파일과 연계하여 대한민국 서울의 한중심에 위치한 남산을 효문화 공간으로 꾸미는 일을 제안하였다. 4월초파일 남산관등을 위해 연로한 부모를 업고 산을 올랐던 조선시대 효자들의 사연과 서로를 이끌면서 평생의 소원이던 남산관등을 즐겼던 어르신들의 사연은 효의 가치가 스러져가는 오늘날 절실한 스토리텔링이 될 수 있다.
    연등회는 1,200여 년 세월동안 백성의 신명을 담아온 현장이자 역사문화콘텐츠를 축적해온 민족의 축제이다. 4월초파일 연등회와 관련, 지자체와 관청이 연계하여 축제의 외연을 넓히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문화재청, 서울시, 자치구에서 이들 문화콘텐츠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을 때 지역의 역사문화를 되살리면서 지역의 브랜드가치를 드높이는 온전한 축제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YeonDeungHoe(Lotus Lantern Festival) is the national festival for public over 1,200 years in history. King Kyung-moon of Silla kingdom went to Hwang-ryong temple and saw YeonDeung on the First Full Moon day then told his people to have banquet. After that, the festival was inherited to Koryo Kingdom. The 15-day YeonDeungHoe which held on Full Moon day of January and February were nationwide festival focused on 태조신앙. On small festival day, the King come and go to Bong-Uen Temple and colorful music and performances were held on that street. During both small and big festival day, lord and vassals were enjoying the festival together and on the big festival day night, they watched the fabulous YeonDeung together. But after middle of Koryo Empire, the YeonDeungHoe were also held by public during Buddha's birthday aside from national festival. When military subjects had political power, this public YeonDeungHoe was much magnificent compare to the one held by nation. After that, the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was inherited to the public not the one held on full moon day which lost its original function.
    In Chosun Dynasty, which Confucianism was national religion and suppressed buddhism, the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was still held by public and one of the biggest festival in nation. Lots of confucian scholars were giving appeals to the palace, but still the YeonDeungHoe was held in royal palace too. According to the true record of Chosun Dynasty, successive kings from TaeJong to YoungJo held YeonDeungHoe in the palace on Buddha's birthday with hundreds and thousands of YeonDeungs lighted. And it is also written there that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names of YeonDeungs and even YeonDeung artisans were exist. The king bestowed Lanterns made with precious stones to his vassals on Buddha's birthday, and the queen InWonWangHoo, wife of King SookJong, made lantern with pearl.
    The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in Chosun dynasty, it was the day people hang lanterns according to their number of family members in their place and enjoy them together. There are some poems about grand sight of JongRoGwanDeung, which is one of the eight great songs of this land. ChukHyunGwanDeung, which describes beautiful lights in Nam Mountain, and JaGakGwanDeung, which sings beauty of lights from JaHa Gate were also chosen as eight most representative place in old Seoul, Han-Yang.
    NamSan, the mountain centered in Capital City, was one of the hot place to watch YeonDeungHoe together with Jong-Ro. Especially elder people always dreamt to watch the festival on that mountain so old people from countryside came all the way to Hanyang to climb the mountain and watch the festival. Carrying elders on their back and climb that mountain became custom of filial piety by that time.
    In this thesis, I arranged the manners and the customs which to be followed and inherited from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festival cultural contents point of view. And I also suggested to position this festival to succeed nowadays.
    First, We have to make connection between YeonDeungHoe and 'Make 5 Alive Royal Palace' business as palace culture contents. We have to bring back beautiful lights of the palace like EoSooDang in ChangDuk Palace during the festival as true records described. and also if we can reproduce our traditional lanterns like BiDanDeung and YangGakDeung it will be a great opportunity to show how dignified YeonDeungHoe in royal palace was.
    Secondly, The city needs to find back eight places introduced in old literatures. This is the chance to find places our ancestors loved more than six hundred years ago. We now live in the time which making new things is much familiar. This is to bring back thoughts and festival culture of our ancestors and also a step to recover forgotten beauty of old Han-Yang.
    Third, I suggested to make NamSan mountain,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apital, a place of filial piety culture during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The story of people carrying elders on their back to climb the mountain and the story of old people helping each other to climb can be great story for generation with less filial piety.
    YeonDeungHoe is the scene which carried public's life for more than 1,200 years and it is the people's festival with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The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must be linked with local governments and try their best to expand the festival. Especially whe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eoul City Council, and district council can apply its cultural contents, they can embody perfect festival which can bring their brand value way up high while bringing back local historical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