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의 6월항쟁과 노동자 참여 (The June Uprising of Ulsan and Laborers' Participation in I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12
55P 미리보기
울산의 6월항쟁과 노동자 참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9호 / 349 ~ 403페이지
    · 저자명 : 원영미

    초록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전까지만하더라도 울산은 국가주도 공업화의 상징적인 도시였다. 이후 울산은 ‘노동운동의 메카’, ‘노동자도시’라는 또 다른 이름을 얻었다. 노동자대투쟁이 울산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노동운동의 영향력이 매우 강력했기 때문이다. 노동자대투쟁이 6월항쟁의 연속선상에서 발생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울산의 6월항쟁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고, 관련 연구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울산의 6월항쟁과 노동자대투쟁의 연속성 여부를 고찰하기 위해 울산지역 6월항쟁의 주도 세력을 추적하고 항쟁의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6월항쟁에 참여한 노동자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항쟁 참여 계기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1970년대 말 양서협동조합 활동을 시작으로 울산의 사회운동세력은 개신교 교회와 가톨릭농민회를 중심으로 활동을 넓혀나갔다. 1986년에는 ‘민중민주화 세력을 규합하고 연대투쟁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울사협을 결성하였다. 1987년 1월 박종철고문치사사건과 4·13호헌조치로 이어지는 정치적 상황 속에서 울산의 사회운동세력은 지역 야당 정치인뿐 아니라 학생세력과의 연대를 꾀하였고, 그 결과 울산국본이 결성되었다. 울산국본의 주도로 6·10범시민대회와 6·19최루탄추방대회, 6·26국민평화대행진과 같은 대중집회가 열렸고, 시민과 학생, 노동자들이 항쟁에 참여하였다.
    노동자대투쟁 이전 노동조합이 없거나 있더라도 민주적인 활동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 활동가들과 교류하며 노동조합 결성을 준비해 오던 노동자들과 사회정치문제에 관심이 많던 노동자들은 6월항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들은 6월항쟁에서 직접 민주주의를 경험함으로써 자신감을 얻었고, 6월항쟁이 열어놓은 정치적 공간 속에서 노동자대투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영어초록

    Ulsan was a symbolic city in state-led industrialization until The 1987 Grand Labour Struggle, after which the city earned other nicknames such as "Mecca of labor movement" and "city of workers." It was partly because The Grand Labour Struggle began in the city and partly because it had such strong influences on the following labor movements. The 1987 Grand Labour Struggle took place in connection to the June Uprising of Ulsan, but there has been relatively less interest in the June Uprising of Ulsan and little research on it. Trying to examine continuity between the June Uprising of Ulsan and The 1987 Grand Labour Struggle, this study traced the leading force of June Uprising of Ulsan and reorganized its developmental patterns. In addition, it examined th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the June Uprising of Ulsan and its meanings through the specific experiences of workers that participated in it.
    In Ulsan, the social movement force began with the activities of the Yangseo Cooperative in the late 1970s and expanded its activities around the Protestant Church and Catholic Farmers' Association. They formed Ulsahyeop in 1986 to "rally the popular democratization force and practice united struggle efficiently."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1987 from Park Jong-cheol's death caused by torture in January and th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on April 13, the social movement force of Ulsan tried to join hands with the students force as well as the local opposition party and eventually became the Ulsan Gukbon. Under the leadership of Ulsan Gukbon, mass rallies were held including the Citizens' Rally on June 10, Rally for the Banishment of Tear Gas on June 19, and People's Grand March for Peace on June 26. Citizens, students and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truggle.
    In the situation before The 1987 Grand Labour Struggle in which there were no unions or no expectations for its democratic activities, the workers that had been preparing to form a union through exchanges with local activities and those who had much interest i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ook active part in the June Uprising of Ulsan. They gained confidence by experiencing direct democracy in the June Uprising of Ulsan and took the initiative in The 1987 Grand Labour Struggle in the political space that was opened by the June Uprising of Ul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