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근대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원불교의 마음공부 (The Great Opening in Korean Modern Folk Religions and Practice of Mind Study in Won-Buddhis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07.06
26P 미리보기
한국근대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원불교의 마음공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11권 / 1호 / 225 ~ 250페이지
    · 저자명 : 박맹수

    초록

    이 논문은 한국근대 민중종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개벽사상의 변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우선 먼저, 동학을 비롯한 한국근대 민중종교가 등장하는 시대적 배경을 서세동점, 조선왕조 지배체제의 모순, 민중의식의 성숙이라는 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개벽사상의 원형 및 동학의 개벽사상에 대해 검토하였다. 개벽이란 말은 원래 『주역』과 소강절의 개벽론에 淵源을 두고 있지만, 동학의 개벽사상은 서세동점과 지배체제의 모순, 민중의식의 성숙으로 대표되는 조선후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주역과 소강절의 개벽사상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사상으로 정립되었다. 종래의 개벽은 ‘우주의 창조’를 뜻하는 것이지만, 동학의 개벽은 ‘새로운 문명세계가 도래’하는 것을 의미했다.
    그 다음으로 동학의 개벽사상과 그 실천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동학의 개벽사상은 1894년 動世開闢, 즉 동학농민혁명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혁명은 일본이라는 외세의 간섭과 조선왕조 지배층의 대 탄압 때문에 좌절되었다. 그 결과,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동학 교단은 막대한 희생을 치루었으며, 혁명 이념이 되었던 동학의 동세개벽 사상은 증산 강일순의 靖世開闢으로 방향을 전환하기에 이르렀다. 1901년부터 1909년까지 증산 강일순이 펼친 天地工事 운동은 바로 정세개벽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증산의 정세개벽운동 또한 좌절된다.
    끝으로, 수운과 증산으로부터 사상적인 영향을 받은 소태산 박중빈의 개벽사상을 검토하였다. 소태산은 1924년 ‘불법연구회’를 설립하여, ‘精神開闢’ 운동을 전개하기에 이른다. ‘정신개벽’ 운동으로 소태산은 근대 물질문명이 초래한 병폐마저 치유하고자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마음공부법(用心法)’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ransforming stages of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commonly showing in Korean modern folk religions, has been investigated. Historial background of emergence of Korean folk religion begun with Donghak has been studied from three aspects, i.e.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s and their domination, the contradictory of ruling system of Choseon dynasty, and the matured folk consciousness.
    The original form and Donghak's of the thoughts of Great Opening was examined as following step. The term Great Opening(開闢) is originated from I-Ching(周易) and the Great Opening theory of Shao Kang Jie(邵康節). However,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of Donghak had been established as a new dimensional thought different to those of I-Ching's and Shao Kang Jie's, under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later Choseon dynast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s and their domination, the contradictory of ruling system, and the matured folk consciousness. Though traditional meaning of Great Opening was "creation of universe", that of Donghak had the meaning of "arrival of world of new civilization".
    For the due course,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of Donghak and their procedure of practice have been elaborated in detail.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of Donghak had been developed into Dong-Se-Gae-Byeok(東世開闢) of 1894, i.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owever, it had been collapsed for the interference of foreign force, Japan, and the huge oppression of ruling class of Choseon dynasty. In consequences of it, the order of Donghak had to pay severe sacrifice, and the thought of Dong-Se-Gae-Byeok of Donghak which had been leading ideology of revolution, bent its direction into Jeong-Se-Gae-Byeok(靖世開闢) of Jeungsan Kang Il-soon(甑山 姜一淳). The movement of heaven and earth construction(天地工事) was concrete method to practice for Jeong-Se-Gae-Byeok. However, Jeungsan's Jeong-Se-Gae-Byeok movement also had to be setback.
    Finally,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of So T'ae San Park Joong-Bin(少太山 朴重彬) who was influenced by Su-woon and Jeungsan, was studied. So T'ae San established 'Society for the research of Buddhist Dharma(佛法硏究會)‘ on 1924, and started to preach the movement of 'Spiritual Great Opening(精神開闢). Through this movement, So T'ae San tried to heal the evil influence which was caused by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and suggested "practice of mind study(用心法)" as its concrete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