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후기 입사공예의 전개와 원과의 상호연관성 (The Development of Ipsa Techniques in the Later Goryeo Period and its Relation with Ipsa Techniques of the Yuan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06
33P 미리보기
고려 후기 입사공예의 전개와 원과의 상호연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8권 / 298호 / 65 ~ 97페이지
    · 저자명 : 김세린

    초록

    麗蒙戰爭이 마무리 되고 高麗와 元은 화친을 맺었다. 오랜 전쟁에 따라 피폐해진 고려 내부의 정치경제적 상황, 그리고 원을 중심으로 이뤄진 협상이기에 화친 이후 고려는 피지배국과 다름 없는 위치에서 원과의 조약과 각종 명분을 근거로 인적, 물적 수탈을 지속적으로 당했다. 하지만 이 와중에도 고려는국 가의 존립과 문화를 유지할 수 있었기에 공예문화를 비롯한 고려의 전통과 문화를 유지하고 전승할 수있었다.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원과 고려의 인적, 물적 교류는 확장 및 다각화되었고, 원과 고려의 상호 문물유입도 본격화되었다. 이는 본 고의 연구주제인 입사공예에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주요 세부기법인 끼움입사와 쪼음입사에서도 엿볼 수 있다. 우선 끼움입사는 원대부터 중국의 입사 유물에서 중국에서 전승된 끼움입사와 함께 고려식 끼움입사의 중국 유입이 확인된다. 이와 함께 현재 고려 중기까지의 유물에서는보이지 않던 쪼음입사가 14세기 유물에서 일부 확인된다. 쪼음입사를 먼저 사용했던 서아시아 및 유럽과의교류 내용 등을 기록한 여러 문헌자료들은 원대 중국에 쪼음입사가 서아시아 및 유럽과의 교류를 통해 기술이 유입되어 정착한 구체적인 근거가 된다. 그리고 당시 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고려 역시 원과의 교류를 통해 쪼음입사가 유입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이와 같은 정황들은 입사공예가 다방면에 걸친고려와 원의 교류를 통한 상호 작용이 이뤄졌음을 알려준다.
    13~14세기 원과 고려는 동과 철로 제작된 기물이 함께 성행하면서 기존 금은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류가 적었던 동, 철제 공예품도 기법 및 조형의 상호 관계를 이어갔다. 주목할 점은 어느 한쪽의 모방에 치우치지 않고 서로 기존의 조형 및 기법적 전통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입사기법의 확장 및 확산을 이뤘다는 점이다. 이러한 면은 공예문화 교류 및 확산의 상호성과 상대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에 본 고에서는 원 간섭기이자 고려 후기인 13세기 후반~14세기 고려 입사공예의 전개와 원과의 관계 속에서 이뤄진 기법의 상호연관성을 제작과 직결된 금속공예의 제작체제, 원료 그리고 교류사에 주목해 분석했다.

    영어초록

    At the end of the Mongol Invasions of Goryeo, the Goryeo and the Yuan entered into a peace treaty. As the treaty was made favorable to the Yuan, the Goryeo came to be in the status similar to a colony of the Yuan, and continuously exploited by the Yuan fo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ased on the treaty or for other excuses. Nevertheless, the Goryeo preserved its national existence and culture, thereby transmitting its traditional crafts.
    The exchange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cluding craftwork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increasingly extensive and multifarious during the period. This is well illustrated in the primary ipsa techniques that have been transmitted till today: the inserting ipsa and the cross-hatching ipsa techniques. A variant of the inserting ipsa technique unique to the Goryeo was applied to craftworks of the Yuan Dynasty along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inserting ipsa technique. Moreover, the cross-hatching ipsa technique, which had been introduced to the Yuan from West Asia and Europe, began to be used in the Goryeo from the fourteen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Goryeo adopted the cross-hatching ipsa technique through the Yuan in the period. These cultural phenomena demonstrate that there were active exchanges of ipsa techniques between the Goryeo 96and the Yuan.
    During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craftworks made of bronze and iron became popular both in the Yuan and in the Goryeo. Therefore, there came to be increasing interchanges of techniques and designs for making objects of bronze and ir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hat is notable in this communication is that both of the countries maintained their traditional techniques and designs while learning from each other to expand applications of ipsa techniques to bronze and iron objects. This exemplifies reciprocity and cultural relativism in exchanges of craft skills and designs between different countrie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article investigated how raw materials for craftworks made with ipsa techniques were secured in Goryeo; what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the systems of producing metal works; how the ipsa techniques of the two countries interacted, to illuminate the development of ipsa techniques in Goryeo during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