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신교의 원헬스 패러다임: 생태-관계적 오이코스 (The One Health Paradigm in Protestantism : The Ecological-Relational Oiko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12
46P 미리보기
개신교의 원헬스 패러다임: 생태-관계적 오이코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102호 / 385 ~ 430페이지
    · 저자명 : 김명희

    초록

    최근에 세계는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인간과 동물, 환경의 건강을 하나로 묶 는 ‘원헬스’(One Health)라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세계 원헬스 기구들이 조직되어 원헬스 정책을 활성화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원헬스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인간-동물-환경의 건강에 대한 ‘원헬스’ 연구가 지금까지는 수의학이나 의학, 과학, 환경 분야 등 에서 추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원헬스 운동에 종교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전 제하에 개신교 원헬스 패러다임에 대해서 논구하였다. 이를 위해 11차례에 걸 친 WCC 총회 문헌에 나타난 생태 및 환경에 관한 교회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태-관계적 오이코스’가 개신교 원헬스 패러다임이라는 것을 발견하 였다. WCC의 문헌들을 분석하면, 생태관이 ‘생명, 정의, 평화’를 토대로 하고 있다. 이와 연관해 한국을 대표하는 김용복의 생명민중신학과 이정배의 생명 신학을 고찰하였다. 그밖에 기존에 전개되어온 개신교의 다양한 생태담론을 4가지 유형(생태적 사랑, 생태공동체, 생태생명, 생태사물)으로 분류해 탐색하였다. 네 유형 모두 ‘생태-관계’의 시각에서 이기적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자기비 움(kenosis)의 ‘오이코스(oikos) 중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하고 있다. 개신 교의 WCC 문헌과 생태담론에 나타난 ‘생태-관계적 오이코스’가 개신교 원헬 스 패러다임이라는 것을 논문 속에서 규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world has recently recognized the need for a new concept called “One Health,” which interconnects “human-animal-environmental health” as “one,” after the COVID-19 pandemic. To achieve this, global One Health organizations have been created to promote One Health policies, and Korea has also joined the One Health movement at the government level. Research on “One Health,” which unites human-animal-environmental health, has been conducted mainly in the fields of veterinary medicine, science,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One Health paradigmin Protestantism in depth, based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needs to play a role in the One Health movement. To this end, the church’s standpoints o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in the documents of the assemblie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held on 11 occasi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ecological-relational oikos aligned with the One Health paradigmin Protestantism. The analysis of documents of the WCC revealed that the Protestant ecological perspective was based on “life, justice, and peace.” In this context, the perspectives of two of Korea’s leading theologians were examined: Kim Yong-bock’s Living-Minjung Theology and Lee Jung-bae’s Life Theology. Moreover, the various ecological discourses in Protestantism that have been developed so far were also considered by categorizing them into four types (ecological love, ecological community ecological life, and ecological things). It was found that , all four types emphasized the need for an “oikos-oriented” view of self-emptying (kenosis) based on “ecological-relational” perspectives, breaking away from selfish anthropocentrism.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ecological-relational oikos” i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WCC and ecological discourses in Protestantism was consistent with the One Health paradigm from a Protestant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