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인·숙종기의 圖畵署와 畵員 (The Academy of Painting and its Painters in the 17th Century Jose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0.06
36P 미리보기
17세기, 인·숙종기의 圖畵署와 畵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4호 / 143 ~ 178페이지
    · 저자명 : 유미나

    초록

    17세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큰 전란을 겪으면서 대내외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던 변혁기로서 조선시대 역사에서 하나의 전환점을 이루었던 시기이다. 이 연구에서는 17세기인조~숙종 연간의 도화서 실상은 어떠했으며, 전후의 복구 상황은 어떠했는지, 도화서와 관련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왕조실록 과 승정원일기 두 官撰 자료를 토대로 하여알아보았다.
    인조 연간은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연이은 전란으로, 효종 연간에는 북벌 계획을 위한 군비 조달, 그리고 현종 연간에는 잇따른 대기근과 전염병의 창궐로 피폐한 상황이계속되어 도화서와 화원에 대한 관심이나 장려책은 전무했다고 볼 수 있다. 서화를 애호한 인조의 경우 치세 기간 내내 李澄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보였으나, 도화서와 서화부문 전반에 대한지원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효종과 현종 연간에는 중국으로의 使行 일행에서 화원이 제외된다든지, 해마다 있었던 歲畵의 제작도 폐지되는 등 긴축 재정의 여파가 서화부문에 우선적으로미쳤음을 볼 수 있다. 도화서의 피폐한 사정은 개선되지 못한 채 숙종조까지 이어졌던 것으로보인다.
    숙종은 서화를 애호하여 도화서와 화원의 활동에 대한 관심이 컸고 또 적극 장려하였다.
    숙종 연간에 도화서 및 화원에 관련된 기록은 이전 시기에 비해 한층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서화 장려 조치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화서 부지를 자신의 누이인 명안공주에게 절수해 주어, 도화서의 화원들이 청사를 빼앗기고 수십년 동안 이곳저곳을 전전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한 것도 숙종이었다. 도화서의 원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견평방(종로구관훈동 일대)으로 그 곳에 800칸 건물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곳이 명안공주방에 절수된 후 도화서는 예빈시와 통례원의 옛터, 충익부의 옛 터, 태평관 옛터 등의 장소를 획급받았고, 경신대출척(1680)과 기사환국(1689) 등을 거치며 죄인으로 몰린 집안의 가옥도 절수받았다. 그러나그 공간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위치가 궁벽하기도 하여 제대로 자리 잡지를 못하였다. 1713년 무렵에는 梨峴(종로 4가), 돈의문 안, 동구 안에 있는 예조 직방에 거처하였음을 볼 수 있다. 한편,18세기 중엽 제작의 《輿地圖》(1744-1753년 제작,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중의 <도성도>를보면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 남쪽과 태평방 소광통교 인근의 두 군데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기록에서 살펴 본 도화서 移設 과정 이후의 상황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고종 때의 기록인 동국여지비고 에 도화서의 위치가 태평방이라 명시된 점을 보면 이후 태평방 소광통교인근의 도화서 청사로 작업 공간이 집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주야로 쉴 틈 없이 일을 해야 했던 도화서 화원들 가운데 호구책이 없었던 이들이 반을 차지하였으니, 그들은 매우 열악한 조건에 있었다. 숙종의 서화 장려 의지에 따라 이루어진화원들에 대한 처우개선을 보면 우선 녹봉을 받을 수 있는 체아직의 확보가 가장 시급하였다.
    1682년에 녹을 받지 못하는 10명의 화원을 위해 녹체아직 다섯 자리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나 바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689년에는 화원 3인의 요임이 가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692년에는 허의순과 같이 체아직의 임기를 마치고 동반직까지 지낸 우수한 화원들을 다시영입하기 위하여 司果 녹체아직을 가설하였으며, 이후 허태석을 위해서도 또 하나의 사과 녹체아직이 신설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종 때 폐지되었다가 숙종 2년(1676)에 복구되었으나1686년에 다시 폐지되었던 歲畵의 복구를 임금께 직접 호소하여 1689년에 이루었다. 해마다 正初에 궁궐에서 쓰인 벽사를 위한 각종 기물과 그림의 제작은 별도의 代價가 지급되었기 때문에화원들에게는 요긴한 수입원이었다. 아울러 1690년 도화서의 잡일을 맡아줄 노비의 확보를 이루어 작업 조건도 다소 개선되었으리라 여겨진다. 숙종 연간에 이루어진 이러한 처우 개선책으로 말미암아 도화서 화원들의 사기는 진작되었고, 체아직의 신설로 도화서를 떠났던 우수한 화원들이 다시 영입되어 후배 화원들의 試取와 교육을 담당하게 됨으로서 화원들의 기량이 증진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도화서와 화원에 대한 관심과 장려는 영조, 정조 연간에도 이어져 지속적인 화원 양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조선후기 회화 발달의 든든한 토대가 되었다.

    영어초록

    The 17th Century in the history of Joseon was the time of turbulence with a lot of changes going on in and out of the country as the nation faced major wars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壬辰倭亂) and the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This paper studie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Academy of Painting(圖畵署) during the 17th century, especially during the periods of Kings Injo(仁祖), Hyojong(孝宗),Hyeonjong(顯宗) and Sukjong(肅宗) based mainly on two sets of government compilation, the Annals of Joseon(朝鮮王朝實錄) and the Seungjeongwonilgui(承政院日記).
    During the reign of Kings Injo, Hyojong, and Hyeonjong, the nation was exhausted with war(during the time of King Injo), was immersed in war preparations to revenge on Manchuria(during the time of King Hyojong), or was impoverished by the great famine and the epidemic diseases(during the time of King Hyeonjong). There was no concern or support for the Academy of Painting or for painting. King Injo who showed special interest in the Academy painter, Yi Jing(李澄), however, did not attempt a support for the Academy of Painting or the area of painting as a whole. During the reign of Kings Hyojong and Hyeonjong, the government excluded painters from the diplomatic troupe dispatched to China, or even abolished the annual production of New Year's Good-luck Paintings(歲畵) and souvenirs for the retrenchment of finance. Such a tight finance in the Academy of Painting continued on to the time of King Sukjong.
    King Sukjong loved painting and calligraphy, was greatly interested in the Academy of Painting and its painters and initiated a support drive.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cademy of Painting or the painters in the government compilation increased greatly in number compared to those during the previous kings and show that various measures were suggested or put to effect to support the painters. However, it was also King Sukjong who offered the site of the Academy of Painting to Princess Myeongan(明安公主), his sister,and left the Academy painters without proper facilities in which to work for the next decades to follow.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Academy of Painting according to the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新增東國輿地勝覽) was in Gyeonpyeongbang(堅平坊), Jongnogu Gwanhundong). The Academy occupied 800 kan(間)-buildings. However, after the buildings were taken over to the Office of Princess Myeongan, the Academy of Painting, instead, was offered the buildings of Yebinshi(禮賓寺) and Tongnyewon(通禮院), those of Chungikbu(忠翊府), and those of Taepyeonggwan(太平館). They also received the houses confiscated from those convicted or executed for political reasons. However, not any of those facilities seem to have been large enough or conveniently located for the Academy painters. By 1713, the painters were using two of the three facilities of the Ministry of Rites(禮曹); one was in Yihyeon (梨峴, Jongno 4-ga), one near Doneuimun Gate(敦義門 안), and another near Donggu(洞口 안).
    In the Map of the Capital City from Yeojido(輿地圖) p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two locations for the Academy of Painting can be pointed out, one in the south of Donhwamun(敦化門) which is the mai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and another near Sogwangtonggyo Bridge(小廣通橋) in Taepyeongbang(太平坊). This must have been the location of the Academy of Painting after the above-mentioned facilities. As the book, Reference Compilation of Geography of Korea(東國輿地備考)which was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高宗) writes the location of the Academy of Painting as to be in Taepyeongbang, it can be presumed that the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there afterwards.
    Meanwhile, the Academy painters had heavy work load and they toiled night and day, but the problem was that about half of them had not been paid at all. With King Sukjong's support drive, however, variou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ir work conditions including the payment. In 1682, the Academy tried to secure five more paid-cheajik(遞兒職) positions which, however, was not successful, but in 1689,it succeeded in establishing three paid positions for the painters. In 1692, another paid-cheajik position was added for a painter who had been promoted to Dongbanjik(東班職) and retired from the Academy,which means highly experienced and skillful painters could be invited in the Academy again to teach the juniors. Afterwards, yet another similar position was added in the Academy. Meanwhile, the New Year's Good-luck Paintings which had been abolished was revived again in 1689 according to the petitions made by the painters. Since the painters were paid for the New Year's Good-luck paintings, it could be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em. Also, in 1690, the Academy secured more servants to do the chores.
    With all the measures taken for the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s, the Academy painters were greatly encouraged in their job. The concern and support given to the Academy and its painters continued on during the reign of Kings Yeongjo and Jeongjo, leading to the consistent nurturing of painters, which must have served as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aintings in lat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