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에 표상된 합일적 상징 연구 (A Study on The Union of Opposites on The Circle as Symbolic Ele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2.02
12P 미리보기
원에 표상된 합일적 상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3권 / 1호 / 107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응종, 김용철

    초록

    실증주의적 서구사상은 계량적, 가시적 사고에 매몰됨으로써 인간의 초월적 사유체계와 능력을 제한하게 되는 모순을 생산하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판적이었던 융학파는 초월적, 합일적 세계관의 복원을 주장하며, '대극의 합일'이라는 사상적 흐름을 계승시킨다. 인간을 둘러싼 근원적 환경에 존재하는 대극을 극복하고 하나로 합치시켜야 한다는 대극합일 사상은 종교와 철학 등에 광범위한 형태로 감지되고 있으며, 특히 특정한 시각적 형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출되는데, 원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이다. 원 제작에 관해, 융학파는 원형론과 집단무의식 이론을 통해 선험적이고 근원적인 동기가 존재한다고 주장하였고, 엘리아데와 아른하임은 ‘이미지와 의미의 일치’와 ‘이형동질’적 사고를 추구하였던 고대인들의 관념에서 그 근거를 찾았다. 리드는 라파엘의 견해를 들어 죽음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초월적 사고에서 기인하였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러한 견해는 원이라는 기하학적 오브제 속에서 인류의 보편적 관념과 인간의 원형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다. 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초월적, 합일적 세계관을 표상하고 있다. 그것은 첫째, 인간의 근원적 대극인 신을 상징하는 표상이다. 둘째, 원은 신과의 합일, 회귀를 상징하는 표상이다. 신과 이데아는 인간의 근원적 출발지이자 궁극적인 목적지라는 회귀관념이 인간의 보편적 사고에 내재되어 있다. 셋째, 원은 영원 회귀와 시간의 갱신을 상징하는 순환적 표상이다. 만다라와 같은 실천적 상징들은, 무의식으로부터 자발적으로 표상되는 개성화 과정을 거친, 생명의 궁극적인 전체성을 내포하는 시각적 형상인 것이다.

    영어초록

    Positivism of empirical quantitative, scientific thought, by being buried in the system and the ability of human reason to limit the transcendental conflict that was produced. This was critical for Jungian the transcendental, the restoration of unify worldview, claiming, 'The Union of Opposites' makes the ideological successor to the flow of his contemporaries. That exist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fundamental human that must combine to overcome the ideological unity of religion and philosophy has been detect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especially with specific visual forms may express symbolically, which circle the most is a critical example. As circles and geometric and abstract expression they have been produced since ancient Greek times to repeat some previous studies of scholars argue can be seen through the catch. Jungian's archetypes theory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is a priori by the theory argued that the presence of underlying motivation. Arnheim and Eliade and every angle, the connection of image and meaning and release isomorphism of the Greek ancients who never thought to pursue based on the resources found. This view that circle, a historic geometric objects in the universal notion of humanity and the human circle, or Eliade argued and human nature, evidence of analogy will arrange. The Circle in different ways, are representations unify worldview. First, which symbolizes the human representation of God is the fundamental opposites. As an existential awareness about human eternity in a circle shape to infer the properties of holiness and God's image was projected into. Second, the circle is unity with God, the representation is symbolic regression. The fundamental idea of a god or human origin and ultimate destination is the universal thought is inherent in the human. The notion that this regression through Platonic philosophy was clearly the source party from the spread out and circulate, the dialectical circulation theories that was embodied in a visual shape. Third, the circle is the symbol of the eternal return, and the representation of time is updated. This is a typical representation of the symbol a snake and moon through the circulation and the renewal of the property. The circle of union is the original image with the mandala is a symbol that appeared as practical. According Jungian in which the inner man, the unconscious is representation from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is the image of life with ultimate wh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