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 코리아(One Korea) 운동과 한인 디아스포라 (One Korea Festival and Korean Diaspor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8.08
24P 미리보기
원 코리아(One Korea) 운동과 한인 디아스포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30호 / 151 ~ 174페이지
    · 저자명 : 전진호

    초록

    1985년 오사카에서 ‘원 코리아(One Korea)’를 구호로 내건 축제가 시작되었다. 이 축제는 해방 40주년이 되는 해에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의 구별을 없애고 하나가 되자는 운동이었다. 일본사회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동포들이 한국계의 민단, 북한계의 총련으로 나뉘어 이념논쟁과 대립을 하지 말고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갖자는 것이다. ‘원 코리아’ 운동은 대중예술을 통해 일본인의 한국인에 대한 고정 이미지를 바꾸고, 한국계 동포와 북한계 동포의 화합을 이뤄내자는 축제로 시작되었다.
    ‘원 코리아 운동’은 일본 사회에서 살아가는 재일한인들이 자기 정체성을 가지게 하고, 동포사회의 정신적, 문화적 토양을 두텁게 하는 대중, 문화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원 코리아 운동’은 정치조직이 아니라 문화 활동을 통한 한인 디아스포라의 연대를 강화하는 조직이다. ‘원 코리아 페스티벌’은 그동안, 일본에서 <하나>가 되지 못하고 반목과 갈등을 겪고 있는 재일한인의 화합을 위해 노력해 왔다. 재일한인이 먼저 화합하여 ‘하나’가 되고, 조국과 해외 코리안의 가교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원 코리아’의 실현에 공헌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평화롭고 창조적인 ‘동아시아 공동체‘를 지향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원 코리아’ 운동의 형성과 전개, 일본사회 내의 ‘원 코리아’ 운동의 의미, 한인 디아스포라 운동으로서의 함의, 일본에서의 일시적인 거류(居留)가 아닌 영구한 정주(定住)로서의 ‘원 코리아’ 운동의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영어초록

    In 1958, a festival was held in Osaka under the slogan “One Korea.” The festival started with the purpose of having real team spirit as one ethnic group instead of suffering from ideological conflicts between pro-Seoul Korean Residents Union(Mindan) and pro-Pyongyang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Chogryon). The aim of the One Korea Festival was to change Japanese’ fixed and preconceived image of Korean through popular art and to achieve national harmony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he One Korea Festival has established itself as a social movement that helps young Koreans in Japanese society to embrace their identity and strengthens the mental and cultural grounds of their communities. In other words, the festival is not a political organization but rather an organization that strengthens the solidarity of Korean Diaspora through cultural activities. The One Korea Festival is aiming to unite Korean-Japanese together first and play a key role in bridging the gap between overseas Koreans as well as contribute to realize ‘One Korea’, ultimately bringing about a peaceful and creative East Asian community.
    In this regard, this paper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creation and evolution of the One Korea Festival, the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within Japanese society, the implication of Korean Diaspora and the importance of One Korea Festival as a permanent settlement in Japan rather than a temporary resid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