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대학원의 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순천대학교를 중심으로-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cused on Sunchon Universi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01
23P 미리보기
교육대학원의 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순천대학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장수업연구 / 3권 / 1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김대희, 이정우, 지영래, 박은정

    초록

    최근 학생 수 감소 및 교원의 과다 양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부에서는 교원 양성과정에 대한 역할 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은 신규 교사의 양성보다는 현직 교원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체제로 전환시키고자 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교육의 강화, 자유학년제 도입, 코로나19의 영향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진로소양 함양, 융복합 교과 지도 및 비대면 강좌의 요구 증가 등 교사들에게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지난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의 반영 및 전남지역의 교사들의 현장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의 제공 등을 포함한 보다 과감한 발전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 분석, 교육부의 교원 양성과정 개편 방안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전공 교수 의견 조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생 및 순천지역 교사들에 대한 의견조사를 거쳤다. 연구 결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첫째, 양성과정 정원 감축에 따라 신입생 지원이 높은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을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함으로써 양성과정을 내실화하고, 재교육과정은 융합교육 등을 신설하여 교사들의 관심과 지원을 늘려나가야 한다. 둘째, 교사 및 교육대학원생들이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수 학습 내용 및 방법들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발전 및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이는 융복합 전공의 개설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대학원 전문박사(교육학 박사, Ed.D.) 과정을 운영하여 신입생 지원을 확대시켜야 한다. 다섯째, 교육대학원 1급 정교사 자격 취득 연수과정을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여, 대학원생들의 현장교육 역량을 함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Due to the recent trend of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over-grow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pushing for a change in the rol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s a resul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trying to convert it to a system fostering the capabilities of existing teachers rather than training new teachers. In the school context, teachers are required to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cultivating career and digital literacy, because of the demand for convergence curriculum guidan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he consequence has also resulted from consumer-tailored education, the free grade syste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mpact of COVID-19.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must come up with a drastic development plan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that can strengthen educational capabilities of teachers in schools in the Jeollanam-do region. In order to make it concret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 analysis of the reform plan for the teacher training cour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 survey of opinions of the profess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a survey of opinions of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Jeollanam-do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firstly divided the majors int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utback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e encouraged all departments to improve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o that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can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and abilities in the fu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offer integrative majors, which are expected to be in high demand in the future. This will bring about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nd advanc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urth, newly-coming graduate students should be welcome through specialized doctoral degree (i.e., Doctor of Education or Ed.D.)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Lastly,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for in-service teachers to acquire first-grade teacher qualification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o cultivate compet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