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정조 대 훈련원 정비의 방향과 그 의미-1797년의 〈훈련원절목〉을 중심으로- (The Arrangement Directions and Meanings of Hunryeonwon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 With a focus on Hunryeonwon-jeolmok in 1797-)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2.11
29P 미리보기
조선 정조 대 훈련원 정비의 방향과 그 의미-1797년의 〈훈련원절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88호 / 167 ~ 195페이지
    · 저자명 : 정해은

    초록

    이 논문은 정조가 1797년에 마련한 〈훈련원절목〉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훈련원의 정비 방향과 그 의미를 검토한 글이다. 조선 전기에 훈련원은 무관을 선발하고, 군사를 양성하며 병학 교육을 관장하는 국방의 산실이었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오군영이 창설되면서 군사 훈련의 기능이 약화되었다. 여기에 능마아청의 설립으로 병학 교육의 역할도 능마아청에 내주면서 예전의 위상만 못하게 되었다. 정조는 훈련원의 군사 기능과 무학 본래의 역할을 되살리기 위해 1796년에 훈련원의 건물을 정비하고, 이듬해에 〈훈련원절목〉 7개 조항을 마련하였다. 이 절목의 핵심은 두 가지다. 하나는 금군별장이 매달 훈련원에서 금군을 훈련하게 하였다. 정조는 금군에 대한 병조의 영향력을 줄이는 대신에 금군별장의 권한을 높이고, 훈련원을 훈련장으로 지목하여 금군의 훈련과 연관을 맺는 관서로 되살리고자 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훈련원 도정이 능마아청 당상을 겸임하면서 낭청 전원에 대한 인사권을 갖게 하였다. 곧 훈련원 도정에게 능마아청 낭청에 대한 인사권을 부여하여 훈련원을 능마아청의 상위 기관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따라서 <훈련원절목>은 금군 강화책의 일환이자 훈련원을 무학의 본산으로 되살리고자 한 정조의 의지가 담긴 정책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content of Hunryeonwon-jeolmok written by King Jeongjo in 1797 and examine the reform directions and meanings of the training center based on it.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Hunryeonwon recruited military officers, cultivated soldiers, and supervised military science education as the cradle of national defense. During the latter half of Joseon, Hunryeonwon expanded in size and turned into a government office closely connected to the successful careers of military officers. Its function of training soldiers became weak after the establishment of Ogunyeong. Its roles of providing military science education also weaken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Neungmaacheong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King Jeongjo devised seven provisions of Hunryeonwon-jeolmok in 1797 to restore the military functions and military science education roles of Hunryeonwon. There are two essential parts in Hunryeonwon-jeolmok: one is that the Byeoljang of Geumgun would train Geumgun at Hunryeonwon every month; and the other is that the head of Hunryeonwon would also serve as the Dangsanggwan of Neungmaacheong and have all the authority over the personnel of low-rank government officials. King Jeongjo tried to make Hunryeonwon a government office related to the training of Geumgun by increasing the authority of the Byeoljang of Geumgun and appointing Hunryeonwon as Geumgun's training ground instead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Ministry of War on Geumgun. At the same time, he granted the authority over the personnel of Nangcheong at Neungmaacheong to the head of Hunryeonwon. As a result, Hunryeonwon was established as a supervising agency of Neungmaacheo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unryeonwonjeolmok was a part of Hunryeonwon's Geumgun policy and a policy that represented King Jeongjo's determination to restore Hunryeonwon as the main provider of military scienc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