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불교 마음공부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Mindful Practice of Won-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원불교 마음공부 모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6호 / 45 ~ 80페이지
    · 저자명 : 장진영

    초록

    원불교 마음공부는 우리의 본성인 일원(一圓)의 진리를 그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공부는 진공묘유의 수행문과 인과보응의 신앙문을 통해 진행된다. 그리고 정신개벽을 통해 정신과 물질이 잘 조화된 낙원세계를 목적으로 한다. 원불교 사상의 근간이 되는 일원상 진리의 양면성은 그대로 마음의 분별(分別)에 따라 동과 정의 두 측면으로 드러나며, 이를 정시공부와 동시공부의 두 방향에서 마음공부의 공부법이 제시될 수 있다. 이를 본성-현상 모델로 제시하여 마음공부의 기본형으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일원상 진리는 세 가지 속성인 공(空), 원(圓), 정(正)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진공묘유의 수행문을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의 삼학으로 분립이 가능하며, 이는 마음공부의 세 측면을 이룬다. 이를 본성-현상-작용의 모델로 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원불교 마음공부에서 인과보응의 신앙문의 역할이 또한 중요하다. 이는 기존의 마음공부 모델을 확장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마음공부의 조건이 되는 관계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마음의 동한 면, 혹은 실행 측면은 그것이 확장되면, 가족, 친우 등 주변의 인간관계 및 사회적, 생태적 관계에까지 그 공부의 영향이 미치게 된다. 그 결과는 다시 인과의 이치에 따라 다시 마음공부의 조건(환경)으로서 경계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것도 마음공부의 모델에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이에 진공묘유의 수행문에 인과보응의 신앙문까지 포괄한 확장형으로서 본성-현상-작용-관계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마음공부 모델을 통해 일상의 경계 속에서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잘 지키고, 잘 사용함으로써 자신과 세상을 더 잘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데,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indful practice of Won Buddhism is based on the truth of Il-Won, that is our true nature. The practices are conducted through the Gateway of Practice based on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and the Gateway of Faith based on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Moreover, it aims for a paradise world where spiritual civiliz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are well harmonized through the Great Opening of spirit.
    The two sides of the truth of Il-Won-Sang, which is the basis of Won Buddhism's ideology, are revealed in two aspects according to the discernment of the mind as it is, and the method of mindful practice can be presented in two directions: the practice in rest and the practice in action. All mindful practices can take these two directions as the basic form, which is a model of nature-phenomena.
    In addition, the truth of Il-Won-Sang can be explained by three attributes: Emptiness, Fullness, and Rightnes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Gateway of Practice based on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into threefold Study: Cultivation the Spirit, 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and Choice in Action. It constitutes three aspects of practice. This can be presented as a model of nature-phenomena-action.
    Furthermore, the role of the Gateway of Faith based on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in mindful practice is also essential.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xpansion of the basic model of mindful practice and in terms of relationship and environment that are conditions of mindful practice.
    In other words, in terms of the dynamic side of the mind, or the side of execution, if it is expanded, the influence of the practice must be taken into account, eve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human relations such as family and friends, and the soci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The result again forms the sensory condition of our mindful practi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which also needs to be considered crucial in the model of mindful practice. Thus, a model of nature-phenomena-action-relation is presented as an extension that included the Gateway of Practice and the Gateway of Faith.
    Through the model of mindful practice,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application will be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and change oneself and the world by understanding, keeping, and using the mind well within daily life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