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대 이후 <주역> 주석사에 나타난 중부괘 豚魚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various Meanings of 豚魚(Túnyú) on the Book of Changes (周易) from the Yuan(元) Dynasty to Modern times in Chin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3.10
34P 미리보기
원대 이후 &lt;주역&gt; 주석사에 나타난 중부괘 豚魚의 의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37호 / 215 ~ 248페이지
    · 저자명 : 황병기

    초록

    본 논문은 중국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돈어’ 주석사를 검토한 논문의 후반부에 해당한다. 원대에는 초기부터 강돈설(江豚說)이 우세했다. 강돈설을 주장한 이들은 모두 당(唐)대 허혼(許渾)의 시를 전가의 보도처럼 활용하였다. 원대의 학자들이 동시에 돈어를 최신자(最信者)의 단계로 격상시킨 것은 중국적 화이관을 부정하고 문명과 야만의 경계를 허문 파격인 것이다.
    명대에는 전통적 견해가 상존하는 가운데 강돈설이 사라지고 하돈설로 기울어졌다. 그러나 강돈의 생태를 묘사한 내용을 하돈설을 주장하는 전거로 사용하는 오류를 범했다. 당대 허혼의 시구를 ‘하돈’으로 개작하면서까지 하돈설을 밀어붙인 사람도 있었다. 이들이 지향하는 바는 동일했다. 돈어 곧 복어(河豚)는 바람의 신호에 호응하는 존재로서 때를 알고 바람을 아는 지적 생명이며 신뢰성 있는 동물이라는 것이다.
    청대에는 이전 시대의 견해들이 공존하는 가운데 고증학의 영향으로 제사 예법의 하나로 간주하는 새로운 해석이 등장하였다. 고경에서 여러 전거를 찾아내어 사(士)와 서인(庶人)의 박한 제물로 풀이하였다. 희생의 종류 가운데 가장 박한 제물이지만 정성을 다해 충심으로 신을 믿는다면 이런 박한 제물을 바치더라도 좋은 결과를 낳는 것으로 이해한 것이다.
    현대학자 가운데는 편의적으로 의견을 달리하는 사람도 나타났다. 돈어를 무지한 동물들로 보기도 하였으며, 어떤 물고기를 쏘아 맞춘 고사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또한 고대의 제사 예법으로 풀이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돈어에 대한 해석이 얼마나 복합한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돈어 해석의 시대적 변천은 시대정신의 변화와 아울러 진행된 점이 없지 않지만, 자서류와 의서류 등에 나타난 훈고학적 지식과 자연과학적 지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았다. 여러 사전 등에서 검증되지 않은 생물의 명칭이 등장하였고, 다양한 명칭들이 혼용되면서 오역과 오해가 무한하게 생성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historical research paper about the various meanings on Túnyú(豚魚) in the comments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from the Yuan Dynasty to Modern times in China.
    It had been a dominant view that Túnyú(豚魚) was the Finless Porpoise(a kind of dolphin) from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It is an interesting case. The scholars who proposed this view used the poet written by Xu-Hun(許渾) in the Tang Dynasty as an important source. This view made Túnyú(豚魚) be upgraded to a level of the most reliable animal by early scholars of the Yuan Dynasty. And it made a turning point to break the previously conventional thought, t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civilization and barbarism.
    While there were the traditional views, a dominant view that Túnyú(豚魚) was a blowfish was raised in the Ming Dynasty. However it was a mistake, because the content that described the Finless Porpoise(a kind of dolphin) was used as a source for a claiming. A scholar changed a word of the poet written by Xu-Hun(許渾) in the Tang Dynasty to a completely different word. They had a same goal. They recognized that blowfish, Túnyú(豚魚), was a reliable and intellectual animal which know time and wind as being responsive to signals from the wind.
    In the Qing Dynasty, while there were the coexistence of the previous views, a new interpretation which considered the word(s) as one of the memorial rite emerged. It was an interpretation that Túnyú(豚魚) was pig and fish which dedicated to victim of the cheapest memorial rite in the old Chinese Classics.
    One of modern scholars has submitted a few opinions. He argued that Túnyú(豚魚) were unintellectual animals. In another place the same scholar noted it to be a old story that had got the fish with a bow on outer sea. He also indicated that it was the ancient rite of sacrifice. It is a sample to indicate that the interpretaion of Túnyú(豚魚) is very complic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