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식민지 시대 열녀 담론 연구 - 1910~1940년대 『經學院雜誌』 소재 열녀 기사를 중심으로 - (Study of the Discourse of Virtuous Womanin Japanese Colonial Eras - Mainly with Articles about Virtuous Woman in Journal of Kyeonghakwon(經學院雜誌) during 1910~1940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일제 식민지 시대 열녀 담론 연구 - 1910~1940년대 『經學院雜誌』 소재 열녀 기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4호 / 473 ~ 506페이지
    · 저자명 : 홍인숙

    초록

    본 논문은 식민지 시대 조선총독부의 직속기관이었던 경학원의 기관지인 경학원잡지에 실린 열녀 기사의 특징적 양상을 살펴본다. 경학원잡지는 1913년부터 1944년까지 연 1~4회 발간되었으며 총 48호까지 간행되었다. 열녀 기사는 여기에 실린 지방 향교의 상황 보고란인 ‘지방보고’에 주로 실려 있으며 그 편수는 110~120편 정도이다.
    경학원은 일본 제국주의 권력이 식민지 유림을 포섭하고 지배하기 위한 매개체로 기능했던 기관이다. 이는 총독부의 경학원의 전반적인 조직과 운영에 대한 명백한 지배를 선언하고 있는 「경학원규정」에 명확히 드러나 있다. 특히 경학원의 주요 사업이었던 ‘석전제의 강화’와 ‘조선왕조의 직제를 그대로 본뜬 경학원의 직제 명명’은 식민지의 유림을 효율적으로 포섭하고 지배하기 위한 일제의 전략적 장치로 작동했다. 경학원잡지의 주요 예상독자는 지방 유림들로, 이들의 동향을 보고하는 ‘지방보고’란은 지방의 향교, 문묘에서 직접 보낸 보고서가 실렸다. 1910년~40년대까지 ‘지방보고’란에 보고서를 송부하는 지역의 숫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경학원의 권력에 접촉하고자 하는 지방 유림들의 세력이 점차 확대되어갔음을 입증한다.
    경학원잡지에 소재한 110여 편의 열녀 기사는 대부분 이 지방보고 란에 실려 있는데, 본고는 이들 열녀 기사의 대표적인 특징이 ‘열행의 가문윤리화’의 측면이라고 분석하였다. ‘가문 윤리화’한 열행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는 근거로는 다음의 세 가지 국면을 제시했다. 첫째, 경학원잡지의 열녀 기사들이 ‘열’이라는 단독 윤리보다는 ‘효’가 결합된 ‘효열’의 개념으로 설명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가문으로 집합화된 효열 보고’의 기사가 다수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열행의 판단 근거로 ‘조상 묘의 복원’, ‘시부의 재혼 주선’이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경학원잡지 소재 열녀기사에는 당대의 지방 유림, 경학원의 고위직 관료, 식민지 최고 권력의 ‘남성적’ 시선이 투영되어 있다. 이들 남성 주체의 욕망이 ‘열녀’ 형상을 통해 여성의 성적 종속성보다 ‘가문의식’을 더 부각시키고자 한 의미에 대해서는 당대의 문화적 현상과 함께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characteristic aspect of articles about virtuous woman written in Journal of Kyeonghakwon(經學院雜誌) that is the magazine of Kyeonghakwon that is a direct institu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Journal of Kyeonghakwon had been issued 1~4 times per year from 1913 to 1944, which has total 48 issues. Articles about virtuous woman are on regional report that is situation report section for local Hyanggyo(鄕校) on the journal, which are about 110~120.
    Kyeong Academy was creat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order to embrace and dominate colonial confucian. In Kyeonghakwon Rules(經學院規程), Japanese friendly characteristic is clearly revealed. The major business of Kyeonghakwon is strengthening the semiannual services in honor of Confucius(釋奠祭), and Japanese imperialism could efficiently dominate colonial confucian through this.
    Major expected readers of Journal of Kyeonghakwon are local confucians, and reports from local hyanggyo and Confucian shrine were contained. Number of regions that sent for this section had constantly increased until 1910~40, which verifies that power of local confucians who want to contact with the power of Kyeonghakwon was gradually extended. About 110 articles about virtuous woman on Journal of Kyeonghakwon are mostly contained in this regional section.
    This article analyze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these article is aspect of moralizing family of virtuous behavior. For the clue that shows characteristic of moralizing family of virtuous behavior these three condi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articles of Journal of Kyeonghakwon rather explains with the concept of filial duty than a single ethic called chastity. Second, articles of filial duty/chastity report grouped in family appears a lot. Third, restoring graves of ancestor and arranging re-marriage of father in-law are importantly mentioned as the base of judgement for chaste behavior.
    These articles of Journal of Kyeonghakwon are reflecting masculine viewpoint of local confucian of the day, high-ranking official of Kyeonghakwon, and the colonial supreme power. About the meaning that the desire of these male subjectivity highlights rather consciousness of the family than sexual dependency of women through virtuous women form, it is thought that it needs to analyze deeper with cultural phenomenon of the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