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神衆信仰의 양상과 성격 - 神衆院과 神衆道場을 중심으로 -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in Guardian Deities(神衆) during the Goryeo Dynasty: Focused on the Sinjung-won(神衆院) and Sinjung-doryang(神衆道場))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09
38P 미리보기
고려시대 神衆信仰의 양상과 성격 - 神衆院과 神衆道場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55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연

    초록

    본 논문은 고려시대 신중신앙의 양상을 신중원과 신중도량을 중심으로 살피고, 제석신앙과 구요신앙과의 관련성 속에서 그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신중은 불교의 수호신으로, 여래를 찬탄하고 불법을 수호하며 불교에 귀의한 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고려시대 신중신앙을 제일 처음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태조 7년(924)의 神衆院 창건 기사이다. 신중원에서는 나한, 범천, 사천왕, 천룡팔부 등이 독립적 신앙 대상으로서 봉안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신중신앙이 의례로 구현된 것이 신중들의 名號를 외며 기도하는 神衆道場이다. 신중도량은 총39회 개설되는데, 이 중 38회가 고려 후기에 설행되었으며 특히 최항 집권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신중도량은 신중도량, 천병신중도량, 화엄신중도량, 천병화엄신중도량 등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최항 집권기에 화엄신중도량이 나타나면서 기존 신중도량이 모시는 존격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천병신중도량이라는 명칭으로 계승된 것 같다. 화엄신중은 『화엄경』의 40위 신중이, 천병신중은 팔부중과 그 권속이 중심을 이룬다. 천병화엄신중도량은 이러한 천병신중과 화엄신중을 함께 모시며 기원을 올리는 의례였을 것이다.
    태조 7년에 신중원은 외제석원, 구요당과 함께 창건되었다. 최항 집권기 신중도량이 집중적으로 개설될 때에는 왕의 외제석원, 구요당 행행이 함께 나타난다. 이러한 사례들로 미루어 보아 제석, 신중, 구요는 상호 관계가 있는 신앙으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석은 왕의 권위를 보장해 주는 천신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왕의 신중원 행차는 제석 의례와 마찬가지로 연초에 주로 이루어진다. 신중원에서 모셨던 다양한 신중들에게 국왕과 국가의 호위를 부탁하고 복을 빌었던 신년 행사이기 때문이다. 한편 늦어도 무신집권기 이후 제석이 구요를 관장한다고 여겨졌던 것 같다.
    이와 같이 최항 집권 시기에 신중도량을 개설하면서 외원과 구요당에 행차하는 것은 외제석원‧구요당‧신중원을 함께 창건한 태조 왕건이 귀의하고 의지하였던 여러 성중을 다시 소환하는 의미가 있다. 나라를 외호하는 제석과 구요, 신중을 신앙하며 몽골의 침입이라고 하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the faith in the Guardian Deities(神衆) during the Goryeo Dynasty, focusing on Sinjung-won(神衆院, Temple of Guardian Deities) and Sinjung-doryang(神衆道場, Ritual of Guardian Deities), while exploring its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worship of Indra(帝釋) and Navagraha(九曜) worship.
    The Sinjung serves as a protective deity in Buddhism, playing the role of praising the Buddha, safeguarding the Buddha-Dharma, and protecting those who are devoted to Buddhism. The earliest evidence of the faith in Sinjung during the Goryeo Dynasty can be found in the records of the founding of Sinjungwon in the seventh year of King Taejo’s reign (924). It appears that the temple housed such as the Arhats, Brahma(梵天), the Four Heavenly Kings(四天王), and the Eight Dragon Deities(八部衆) as independent deities.
    The faith in Sinjung is realized through rituals performed at the Sinjung-doryang, where prayers are offered while reciting the names of the Guardian Deities. A total of 39 sessions of Sinjungdoryang were held, with 38 of them occurring in the late Goryeo period, particularly concentrated during the rule of Choi Hang(崔沆). There are four types of Sinjung-doryang: Sinjung-doryang, Cheonbyeong Sinjung-doryang(天兵神衆道場), Hwaeom Sinjung-doryang(華嚴神衆道場), and Cheonbyeong Hwaeom Sinjung-doryang(天兵華嚴神衆道場).
    In the seventh year of the Taejo dynasty, Soryeong-won was founded along with Ojeoseok-won(外帝釋院, Temple of Indra outside the Palace) and Guyo-dang(九曜堂, Hall of Navagraha). During the concentrated establishment of Sinjung-doryang in Choi Hang’s rule, the king’s activities in Oejeoseok-won and Guyo-dang also appeared. These instances suggest that Indra, Sinjung, and Navagraha were perceived as interrelated forms of worship. Indra has the character of a heavenly deity that guarantees the king’s authority. The king’s visit to Sinjung-won was primarily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similar to the rituals of Indra, as a New Year event to pray for the protection and blessings of the king and the state. O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Indra was considered to preside over Navagraha at the latest beginning of the military regime.
    In this way, the establishment of Sinjung-doryang during Choi Hang’s rule and the visits to Oejeoseok-won and Guyo-dang carried the significance of recalling the various sacred deities that King Taejo had relied upon when founding those shrines. It appears to be an effort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posed by the Mongol invasions through the worship of Indra, Navagraha, and Sinjung, who protect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